일하는 60세 이상 노인이 10년 사이 2배로 늘었고, 60세 이상 고용률 역시 역대 2월 중 최고치를 찍었습니다. <br /> <br />고물가로 팍팍해진 살림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 일하는 청년은 줄고, 일하는 노인은 급증한 상황에서 정년 연장과 국민연금을 둘러싼 고민이 깊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윤현숙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요즘 제조업 현장의 고령화가 얼마나 심각한지 직접 물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박성정 / 중소기업 부사장 : 실질적으로 많이 고령화되고 있고요. 그리고 은퇴 시점이 되더라도 은퇴를 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죠.] <br /> <br />[임하영 / 중견기업 국내영업부문장 : 고객사의 오퍼레이터들을 보면 다 연배가 60 가까이…. 젊은 사람들은 거의 없고요.] <br /> <br />2월 기준 20대 이하 청년층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2만 5천 명 줄고, 40대 취업자도 7만 7천 명 줄었지만, 60세 이상 취업자는 41만 3천 명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수고용직과 자영업자 등은 뺀 상용직과 임시직만 포함된 고용보험 가입자 수도 청년층은 줄고, 노년층은 급등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60세 이상 취업자는 20년 전엔 185만 명에 불과했지만 2013년 273만 명으로 늘었고, <br /> <br />올해는 10년 전보다 2배 이상으로 급증하며 역대 2월 기준 최대치를 찍었습니다. <br /> <br />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부머들이 본격적으로 고령층에 진입하며 60세 이상 인구 자체가 크게 늘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7월 통계청 조사에서 55~79세 고령층은 평균 73세까지 근로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10명 중 6명은 생활비 때문에, 3명은 일하는 즐거움 때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렇다 보니 60세 이상 고용률도 42.8%로 역대 2월 중 가장 높았는데 고물가 등으로 팍팍해진 살림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일하는 청년은 점점 줄고 일하는 노인은 크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고갈이 우려되는 국민연금과 정년 연장을 둘러싼 우리 사회의 고민은 더욱 깊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윤현숙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현숙 (yunhs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31922101760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