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 애니메이션과 할리우드 대작 흥행 속에 한국 영화가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한국 영화의 관객 수와 매출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는데, 영화적 체험을 요구하는 관객들의 눈높이에 맞추려는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. <br /> <br />홍상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1년을 담은 뮤지컬 영화, 윤제균 감독의 '영웅'은 관객 325만 명을 동원했지만 손익분기점을 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황정민, 현빈의 조합으로 관심을 모았던 임순례 감독의 '교섭' 성적은 관객 172만 명에 그쳤고, <br /> <br />조선 총독 암살 작전을 그린 설경구·이하늬 주연 '유령'은 관객 66만 명으로 흥행에 참패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2월 '올빼미' 이후 손익분기점을 넘어선 한국 영화가 전무한 가운데 지난달 국내 작품의 매출과 관객 점유율은 19%대로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통적으로 한국 영화가 강세를 보였던 설 연휴 개봉 작품들도 흥행에 실패하면서 지난해 여름 '범죄도시2'의 천만 기록 이후 한국 영화는 침체의 늪에 빠진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[김헌식 / 문화평론가 :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OTT가 굉장히 약진을 했거든요. OTT 드라마만 못한 영화들이 나오게 된 상황이 돼버렸죠. 그래서 이게 정체되지 않고 그 상황에 발 빠르게 적응을 했어야 되는데 그런 점이 아쉽습니다.] <br /> <br />한국 영화가 주춤하는 사이, 극장가는 일본 애니메이션과 할리우드 대작이 주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'더 퍼스트 슬램덩크' 4백만 돌파에 이어 '스즈메의 문단속'이 최단 기간 100만 관객을 넘어섰고, 아카데미 후보에 올랐던 작품들이 쏟아지면서 지난달 외화는 한국 영화의 4배가 넘는 수익을 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 영화의 장기 침체가 우려되면서 전문가들은 관객들의 달라진 눈높이에 맞추려는 변화가 아쉽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작품성은 물론, 시각과 청각적으로 몰입감을 높인 작품으로 OTT 시청에 익숙해진 관객들에게 영화관에 가야 할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[윤성은 / 영화평론가 : 관객 수는 줄어들었는데 오히려 관람료는 많이 뛰었거든요. 이제 영화적인 시네마스코프의 비율이라든가 또 사운드라든가 이런 것들이 중요한 작품으로 거론이 되면서 이제 영화관에서 봐야 할 영화와 아닌, 두 종류로 구분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CGV와 롯데시네마, 메가박스중앙 등 멀티플렉스 3사는 다음 달 개봉하는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상희 (sa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032000140303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