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7년 만에 경쟁 입찰로 이뤄진 7,100억 원 규모의 KTX 고속철 사업은 국산 기술을 내세운 현대로템이 수주해 오늘(21일)부터 안전성 평가에 들어갑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혈세로 개발된 기술에 대한 보호 장치가 부족한 입찰 제도부터 독주 체제에 따른 품질 관리 소홀 문제는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7,100억 원 규모의 한국철도공사 KTX 평택·오송선 신규 고속철도 차량 136량 재입찰. <br /> <br />지난 2005년 프랑스 알스톰과 현대로템이 맞붙은 이후 17년 만에 경쟁 체제로 치러졌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현대로템이 기술 점수에서 89.81점을 얻어 우진산전을 제치고 낙찰 예정자로 선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쟁 업체는 서울 지하철 5·7·8호선, 코레일 1호선과 일산선 등을 제작한 우진산전. <br /> <br />스페인 철도 제작 업체 '탈고'와 컨소시엄을 구성할 것으로 예상됐지만, 단독으로 참여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속철 제작 경험이 없어 입찰 참여를 놓고 논란이 일었습니다. <br /> <br />결과는 기술 점수에서 79.3점으로 85점에 못 미쳐 부적격 판단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미국 등 주요국 사례처럼 국책 사업으로 개발된 핵심 기술의 시장에 대한 보호가 제대로 이뤄지도록 입찰 제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학용 / 국민의힘 의원 (지난해 10월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) : 당연히 기술에 대한 기술력·과거 납품 실적 등을 평가해서 해야 하는 게 맞다고 생각이 됩니다.] <br /> <br />17년째 독주 체제를 유지하게 된 현대로템도 품질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현대로템이 개발한 KTX-이음 열차에선 심한 진동 문제가 발생해 정부가 부품 교체 등 개선 대책 시행을 주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대로템은 "국산 고속철엔 국산화를 위한 노력이 깃들어있다"며 "KTX-이음 진동 개선에 신속히 대응하고 고객이 만족할 수 있는 고속차량 제작에 역량을 집중하겠다"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오는 4월엔 1조 원이 넘는 SRT 고속철 입찰이 예정된 만큼, 입찰 제도와 품질 관리 개선을 서두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32100382810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