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함형건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형준 카이스트 문술미래전략대학원 부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24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기후 위기 대응에 있어 '인류의 교과서'로 불리는 제6차 IPCC 종합 보고서가 이번주에 발표됐습니다. IPCC는 기후위기에 더 이상 선택지가 없다며 앞으로 10년 안에 지구의 존폐가 달렸다고 강력하게 경고했는데요. 과거보다 빠른 속도로 인류에 위협이 되고 있는 기후 위기의 현 주소와 해법에 대해 김형준 카이스트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와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어서 오세요. UN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죠. IPCC 6차 종합보고서입니다. 지난 2015년 이후에 종합보고서가 나온 건 8년 만에 처음인 것 같은데요. 여러 가지 달라진 지점들이 있었습니다. 핵심을 꼽아볼까요. <br /> <br />[김형준] <br />일단 제가 생각했을 때 특별하게 엄청 바뀌었다는 느낌보다 저희가 사실 기후변화 1차 보고서가 나온 게 1990년인데요. 그 이후에 약 30년이 흘러서 그때부터 이야기해 왔던 것을 재확인했던 그 작업이라고 생각합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이번에 인상적이었던 문구가 기후변화가 인간활동에 의해서 일어난 것이 명백하다는 단어를 이용합니다. 그러니까 1차, 2차, 3차, 4차 보고서를 통해서 점점 저희가 강한 단어를 써오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다 과학적 근거가 충분히 쌓이게 되면서 6차 보고서에 와서야 처음으로 명백하다는 단어를 이용하게 됩니다. 제가 생각했을 때는 이게 가장 큰 전환점이라고 생각하고요. 그 이후에 여기서 얘기하는 게 최근 여러 가지 노력에 따라서 기후변화 정책이라든지 경제적 스킴이라든지 이런 것들을 대응을 해나가는데 예를 들어서 NDC라고 하죠. <br /> <br />국가별 감축 목표. 이걸 달성했을 때도 우리가 얘기하는 탄소중립 시나리오와는 격차가 아직 존재한다. 이런 것들, 이런 문제점들이 밝혀졌고요. 그다음에 전반적으로 봤을 때는 탄소중립이라고 하는 게 2030년에 산업화 대비 약 1.5도 증가의 억제를 하겠다, 이런 목표인데 이미 1.1도가 증가해버렸다. 이런 사실도 확인했고요. <br /> <br />그러면 전 지구의 평균 온도 증가는 기본적으로 인간이 배출한 온실가스의 총 누적 배출량과 비례관계에 있습니다. 쓰레기매립지 같은 걸 생각하시면 될 것 같아요. 정해진 공간이 있고 거기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32219293842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