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전쟁 경산코발트광산 민간인 희생자 14년 만에 발굴 유해 수습 재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국전쟁 당시 민간인 학살지 중 한 곳인 경북 경산에서 14년 만에 유해 발굴 작업이 재개됐습니다.<br /><br />전국 14곳에서 민간인 희생자 유해발굴 사업이 진행되는데요.<br /><br />진실화해위는 인권침해와 한국전쟁 전후 적대세력에 의한 민간인 희생자들과 유족의 억울함을 풀 수 있길 기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지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장대비가 쏟아지는 가운데 유족들과 발굴단이 광산 입구에서 유해 재발굴을 알리는 제를 올립니다.<br /><br />이곳에선 6·25전쟁 때인 1950년 7~8월, 국민보도연맹원에 가입했다는 이유로 끌려온 주민과 대구형무소의 재소자 등이 재판 절차 없이 군경에 집단 희생됐습니다.<br /><br /> "안보여도 가슴에 응어리가 있는데 여긴 날만 새면 보이잖아요. 보고나면 더 가슴이 아프죠."<br /><br />앞서 '1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'는 지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수평2동굴에서 유해발굴 조사를 진행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420여구의 유해가 발굴됐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유족회가 2000년부터 3차례 자체 발굴로 80구를 발굴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들 420여구와 별도로 흙과 뒤섞인 유해 등을 수습한 3천여 개의 포대는 정부 예산 지원이 중단되면서 15년 동안 광산에 남았습니다.<br /><br />진실화해위는 이 광산에서 1,800여명이, 유족회는 3,500여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지금도 3천구 정도가 남아 있다고 생각합니다. 그래서 우리는 이 굴에 다시, 마지막 뼈 하나라도 찾아야 한다는 그런 신념으로 하고 있고…."<br /><br />지난 2020년 재출범한 2기 진실화해위는 최근 인권침해 현장과 국민보도연맹 사건이 발생한 전국 14곳의 유해 발굴을 추진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유해 발굴로 사건의 진실 규명과 희생자의 명예 회복, 유가족의 맺힌 한을 풀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지훈입니다. (daegurain@yna.co.kr)<br /><br />#경산코발트광산 #민간인학살 #진실화해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