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의 국토녹화 사업은 1973년에 시작돼 50주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풀뿌리조차 자라지 않았던 민둥산을 울창한 숲으로 바꾼 그 과정과 결과를 영상으로 만나 보시죠 <br /> <br />김진두 기잡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일제의 산림자원 수탈과 6·25 전쟁으로 초토화된 산림, <br /> <br />국토 산림 670만ha의 1/3이 민둥산으로 변했고, 여의도 면적의 2,400배에 달하는 70만ha는 황폐화가 심각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가운데 하나가 포항 영일만 지역입니다. <br /> <br />국제항공노선의 관문이라 하늘에서 한국을 내려다보는 외국인에게 좋지 않은 첫인상을 심어줄 수밖에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1973년 치산녹화 10년 계획이 시작되면서 4,580ha 영일만에 대한 황폐 산림 규모 측량이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리적 여건에 맞게 복구 설계도를 작성하는 등 체계적인 녹화가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[우수영 / 한국산림과학회 회장 : (당시 녹화사업을 지휘한 고 손수익 산림청장은) 별명과 비슷하게 불도저처럼 아무것도 없는 그런 황무지에서 국토를 푸르게 녹화한 '리더 십'을 강력하게 발휘한….] <br /> <br />중장비를 투입할 수 없는 산 사면을 사람 손으로 정리하고, 토사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계단을 조성했습니다. <br /> <br />퇴비를 만들어 나무 묘목을 심고 1년에 한 번씩 '검목일'을 정해 나무가 잘 자라는지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50년이 지난 지금 포항 영일만은 세계에 자랑할 만한 녹색 산림으로 변했습니다. <br /> <br />아름드리가 간격을 맞춰 줄지어 자랐고, 첫 모래 방지 사업을 기념하는 공원도 조성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 녹화사업과 동시에 민간인 신분으로 곳곳에서 홀로 나무를 키워낸 '독림가'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[남성현 / 산림청장 : 우리나라 치산녹화는 정부가 끌고 국민이 함께하는 방식이었습니다. 이번에 명예의 전당에 오른 고 진재량 모범 독림가는 전남 무등산 일대 임야 667ha에서 나무를 심고 가꾸신….] <br /> <br />대형산불로 숲이 일부 소실됐지만, 우리 산림은 아직도 이렇게 건강합니다. <br /> <br />50년 동안 잘 가꿨다면 이제는 잘 지켜낼 방법을 고민하고 또 그 혜택을 더 많은 국민이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040606395271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