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미일 북핵 수석 대표가 서울에서 만나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대북 공조를 다졌습니다. <br /> <br />3국은 모든 유엔 회원국들이 안보리 결의에 따라 북한 해외 노동자들을 송환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압박 수위를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임성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 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,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서울에서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일 북핵 수석대표의 대면 협의는 지난해 12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회동 이후 넉 달 만입니다. <br /> <br />3국은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첫 공동성명을 내고,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와 핵 위협을 규탄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주민의 어려움은 무시한 채 유엔 결의를 위반하는 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자원을 쏟아붓는 것에 유감을 표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건 /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: 북한의 핵 집착은 모든 북한 주민의 미래를 파괴하는 자멸적 부메랑에 불과합니다.] <br /> <br />성 김 대표와 후나시코 국장도 대북 억제력 강화를 골자로 하는 한미일 3자 협력의 중요성을 재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[성김 /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: 북한이 전례 없이 많은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더라도 우리는 여전히 외교에 전념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습니다.] <br /> <br />[후나코시 다케히로 /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 : 한미일 세 나라의 협력은 더 강화되고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이번 주 우리 세 나라는 대잠수함 훈련을 실시했습니다.] <br /> <br />3국 대표가 발표한 공동성명에는 북한의 주요 외화 수입원으로 지적돼 온 해외 노동자 문제가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모든 유엔 회원국들이 안보리 결의 2397호와 2375호에 따라 각 국에 체류 중인 북한 노동자들을 북한으로 송환할 의무가 있다는 점이 강조됐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악성 사이버 활동을 통한 정보 획득과 자금 탈취·세탁 등 불법 자금 확보를 차단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과, 납북자와 미송환 전쟁포로를 포함한 북한 인권 유린 상황의 개선에 대해서도 공동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과 북한의 주요 기념일을 앞두고 진행된 이번 협의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효과를 낼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임성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임성재 (lsj62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407150525346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