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자리 증가폭 열 달 만에 반등…청년·제조업은 위축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취업자 증가 폭이 열 달 만에 늘어나면서 고용시장에 다소 훈풍이 불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잘 뜯어보면 제조업 취업자는 석 달째 줄었고, 고령층을 제외한 연령대에선 취업자 수가 감소해 고용의 질 개선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3월 늘어난 취업자 수는 작년 3월 대비 약 47만명.<br /><br />전년 대비 증가 폭이 아홉 달 내리 줄다 다시 커졌습니다.<br /><br />본격 일상 회복으로 대면 활동이 늘어난 게 영향을 미친 겁니다.<br /><br /> "경기둔화 등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외부 활동과 돌볼 수요 등의 증가로 취업자 증가 폭은 전월에 비해서 확대되었고…"<br /><br />하지만 고용의 질은 늘어난 숫자만큼 좋아지진 않았습니다.<br /><br />60세 이상 취업자 증가 폭은 3년여 만에 최대였지만, 이들을 제외한 연령대 취업자는 7만8,000명 감소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특히, 20대 이하 청년층과 경제의 허리 격인 40대는 각각 5개월과 9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경제의 핵심 격인 제조업 취업자도 석 달 내리 줄었는데, 감소 폭으로 보면 19개월 만에 가장 컸습니다.<br /><br />반도체 등의 수출 부진 여파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한편, 정부는 주요 산업 현장에서 일할 사람을 찾지 못한 '빈 일자리'가 21만개나 된다며 인력난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현장에서 인력난을 호소하는 국내건설업, 해운업, 수산업, 자원순환업 등 4개 업종을 추가 선정하여 인력유입 유도 및 양성, 근로조건 개선, 매칭지원 강화 등을 (지원하겠습니다.)"<br /><br />아직까지는 고용상황이 예상보다 견조하지만, 점차 뚜렷해지는 경기 둔화 탓에 정책당국과 통계청 모두 향후 전망은 불확실성이 크다고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고용동향 #일자리 #청년고용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