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전세사기 피해자를 지원하겠다고 내놓은 '연 1∼2%대 저리 대출'을 이용한 피해자는 극히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전세사기 영향으로 서울 빌라의 경우 월세 선호 현상이 뚜렷해지며 전세 비중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동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세사기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인천 미추홀구 전세사기 피해 주택만 3천여 가구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정부가 전세사기 피해자를 지원하겠다고 내놓은 '연 1∼2%대 저리 대출'을 이용한 피해자는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지원 대출은 지난 1월 9일 출시 이후 8건에 그쳤고 대출 액수는 9억 원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피해자 3천 명가량이 신청할 것으로 예상하고 예산 천660억 원을 책정했지만 예산의 0.5%만 활용되는 등 실질적 도움이 안 된 것입니다. <br /> <br />피해자들이 기존 전세대출조차 갚기 어려운 상황에서 또 빚을 내는 것은 부담인 데다 대항력 유지 등을 위해 이사를 원치 않는 경우도 많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내놓은 긴급주거지원 역시 이용 사례가 드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경매가 낙찰돼 살던 집에서 나가야 하는 피해자를 위해 마련했지만, 이를 이용한 입주자는 지금까지 9명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임대주택 대부분이 원룸이고 도심과도 거리가 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이철빈 / 전세사기·깡통전세 피해자 : 이미 주거지를 박탈당한 사람들에게 긴급 거처의 품질을 강화하고 숫자를 대폭 늘려 주십시오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전세사기 우려에 따라 세입자들이 빌라 임대차 계약 때 전세보다 월세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1분기 서울 빌라 전월세 거래량 2만 7천여 건 중 전세는 전체의 54.0%였습니다. <br /> <br />2011년 이후 1분기 기준 가장 작은 비중인 반면 준전세 비중은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전세사기 등 문제로 빌라 전세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전세 비중은 점점 줄고 준월세나 준전세 비중이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동우입니다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김광현 <br />영상편집 : 이은경 <br />그래픽 : 권보현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동우 (dw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41918092696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