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부 유럽 핵심 국가인 폴란드가 인천공항을 모델로 수도인 바르샤바 인근에 신공항 건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동부 유럽의 허브 공항이 목표인데 인천공항은 새로운 사업 동력으로 보고 '전략적 운영 파트너'로 참여를 추진 중입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수도 바르샤바에서 30여 km 떨어진 바라노프, <br /> <br />폴란드는 이곳에 기존 바르샤바 공항을 대체하고, 유럽 중동부 허브 역할을 할 4천만 명 규모의 신공항 건설을 추진 중입니다. <br /> <br />인천공항이 모델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9년 우리나라에 사업 참여를 요청했고, 2021년 두 정부와 공항공사 간 MOU가 체결됐습니다. <br /> <br />[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 / 폴란드 총리 : 인천공항공사와의 협력 체결로 폴란드 수도 신공항 건설은 완전히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게 됐습니다.] <br /> <br />유럽은 국제 여객이 연간 9억 명에 달하는 세계 최대 시장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 만큼 신공항이 오는 2029년 개항하면 성장세가 높을 것이란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중동부 유럽에 경쟁 허브 공항이 없어 기존 공항이 연평균 13.8% 성장해 왔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재건 특수도 기대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인천공항은 15조 규모의 신공항 건설 사업에 '전략적 운영 파트너'로 단독 참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항 운영 의견 개진과 우선적 의결권 행사로 경영 참여까지 노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오는 6월 투자 협약을 체결하고 지분의 12.5%인 7,500억 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이미 잠재력 협력사에 국내 건설사 3곳이 포함되는 등 우리 기업의 동반 진출도 가능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KDI는 사업성을 낮게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신공항이 고속철도와 연결돼 항공 수요 유출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인천공항공사는 배당 수익으로 2035년 이후 9년 만에 투자금을 충분히 뽑아내고, 부가 수익도 창출할 수 있다며 적극 소명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[김범호 / 인천국제공항공사 미래사업본부장 : 오히려 고속철도가 연결됨으로써 고속철도와 이어지는 그 부분까지의 항공 수요가 공항을 중심으로 늘어나는 것을 실증적으로 파악을 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인천공항이 국내에서 벗어나 신성장동력으로 활용할 이번 사업에 성공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42405201182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