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 경기 침체로 PF 부실화 우려 확산 <br />PF 정상화 위한 전 금융권 참여 대주단 협약 가동<br /><br /> <br />국내의 사실상 모든 금융회사가 참여하는 부동산 PF 대주단이 본격 가동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통해 최근 부실 우려가 커지는 PF의 질서 있는 정상화에 나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부동산 경기 악화와 함께 부실 우려가 제기되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, PF. <br /> <br />특히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 PF 대출을 확대한 여신전문회사와 저축은행 등에서 문제가 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은행권의 부동산 PF 위험 노출액은 115조 원을 훌쩍 넘습니다. <br /> <br />15조 원 수준인 5대 시중은행보다 훨씬 많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들어선 연체율까지 치솟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증권사의 연체율은 2021년 말 3.7%에서 지난해 9월 말 8.2%로 껑충 뛰어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PF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자 당국과 금융권도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돈을 빌려준 금융회사들과 금융위원회, 금융감독원 등이 협약을 체결하고 PF 사업장 정상화에 나서기로 한 겁니다. <br /> <br />[김광수 / 은행연합회 회장 : 다양한 업권에 속한 채권금융기관들이 보다 자율적으로 효과적인 사업 정상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.] <br /> <br />이번 협약의 대상은 3개 이상 금융기관이 참여하면서 총채권액 100억 원이 넘는 사업장입니다. <br /> <br />공동관리 절차를 신청하면 자율협의회가 개시 여부를 결정하는 구조입니다. <br /> <br />사업 정상화 대상이 되면 채권 재조정과 신규 자금 등의 지원을 받지만, 시행사와 시공사는 분양가 인하 같은 손실을 감당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[김주현 / 금융위원장 : 정부도 민간 자율의 정상화 노력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정책금융 등을 통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 한편, 자산건전성 분류 등에서도 차별받지 않도록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자율협의회는 시행사와 시공사의 사업 정상화 계획을 이행하기 위한 특별약정을 체결하고, <br /> <br />이행 실적을 정기적으로 점검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촬영기자 : 고민철<br />그래픽 : 지경윤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42803124687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