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 생산과 소비는 증가한 반면, 설비투자는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은 경기가 본격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고 판단하기는 이르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반도체 생산은 한 달 전보다 35.1%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많이 늘어난 셈인데 이는 기저효과와 계약 일정 등 일시적 요인에 따른 것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1년 전과 비교하면 반도체 생산은 26.8%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보경 /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 : 반도체는 이번 달에는 35.1%로 크게 증가했는데, 분기별로 봤을 때는 2023년 1분기 같은 경우에는 전 분기 대비 9.1% 감소하였고 또 동 분기대비는 33.8% 감소해서 아직은 부진한 흐름으로 보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자동차와 전자부품 생산이 늘면서 지난달 광공업 생산은 5.1%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금융·보험과 부동산 등 서비스업 생산도 늘어 전 산업생산은 한 달 전보다 1.6%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차량 연료와 가전제품 판매가 늘어 0.4%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소매판매는 두 달 연속 증가했는데, 방역조치 추가 완화와 평년보다 따뜻한 날씨에 승용차 판매 등이 늘며 상승 흐름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설비투자는 선박 등 운송장비 투자가 줄어 2.2%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은 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그간의 하락 흐름에서 벗어났다고 보기에는 낮은 수준이라며 경기가 본격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고 보기에는 이르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올해 1분기는 완만한 소비 회복 등에 힘입어 지난해 4분기의 부진한 실물경기 흐름에서 차츰 벗어나는 모습이지만 수출과 설비투자 부진을 복병으로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[방기선 / 기획재정부 1차관 : 정부는 수출·투자 활력 회복을 위해 세제와 예산, 금융 지원 및 규제 혁신 등 과감하고 전방위적인 정책대응을 강화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또 상반기 재정집행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내수 활성화 대책도 속도감 있게 진행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오인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 : 정철우 <br />영상편집 : 이은경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인석 (insuko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42813045148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