금리 인상 영향으로 20~30대 청년층이 빚은 늘고 소비가 급격히 줄어드는 등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청년층이라도 부채 수준에 따라 소비 감소 폭은 차이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해 저금리 기조가 이어졌던 2020년과 2021년 20~30대 청년층은 중장년층보다 대출을 큰 폭으로 늘렸습니다. <br /> <br />청년층의 대출은 주택에 집중됐는데, 총대출 중 주거 관련 비중이 80%를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주택 구입 여력이 부족해 전월세 보증금 대출 비율도 지난해 말 기준으로 30%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대출 증가는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부채 상환 부담으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미루 /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 : 최근 고금리가 지속됨에 따라서 취약차주 위주로 연체율이 상승할 수 있는데요. 청년층의 연체율이 중장년층에 비해서 빠르게 상승하는 추세가 계속해서 나타날 위험성이 높습니다.] <br /> <br />금리 상승과 경기 둔화 영향으로 청년층 소비도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가 1% 포인트 인상될 때 20대의 연간 소비 감소 폭은 30만 원, 30대는 20만 원인 반면, 50대는 8만 5천 원, 60대 이상은 3만 6천 원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20대의 소비 감소 폭이 60대 이상의 8.4배에 달하는 등 소득수준보다 연령에 따른 차이가 더 컸습니다. <br /> <br />[김미루 / KDI 경제전망실 연구위원 : 청년층의 경우에는 저축이 부족하고 차입이 어렵기 때문에 소비를 현재 소득에만 의존해야 되고, 그래서 현재 소득에 충격이 왔을 때는 소비가 급격하게, 소비를 급격하게 조정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됩니다.] <br /> <br />같은 청년층이라도 부채 수준에 따라 소비 감소 폭은 차이가 컸습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가 1% 포인트 인상되면 부채보유 상위 50% 청년층의 연간 소비는 26만 원 줄어든 반면, 빚이 없는 청년은 2만 4천 원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부채 보유 상위 50% 청년 중 저신용층은 연간 소비가 54만 원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KDI는 청년층이 향후 소득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미래 소득을 대출 규제에 반영하고, 한계상황에 직면한 청년층의 기존 채무를 장기 분할 상환 대출로 전환할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오인석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인석 (hkpark@ytn.co.kr)<br />[대]촬영기자:정철우<br />영상편집:강은지<br />그래픽: 우희석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42911383505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