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립현대미술관이 공포와 긴장이 감도는 서스펜스의 미로로 변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팬데믹 극복의 디스토피아적 환상을 담은 국내외 미디어 아트 작품 속을 걷다 보면 현실을 잊는 몰입의 순간에 빠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교준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좁은 통로를 따라 전시장으로 들어갑니다. <br /> <br />반투명 막에 어렴풋이 비치는 잔상이 미묘한 긴장과 함께 음산한 분위기를 더합니다. <br /> <br />어둠 속에서 마주하는 기이한 영상들. <br /> <br />국립현대미술관이 코로나19를 계기로 세계 유수의 미술관과 함께 미디어 아트 작품을 소개해온 '워치 앤 칠' 3번째 전시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전시는 미로 같은 공간 속에서 미디어 작품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해 몰입도를 높였습니다. <br /> <br />[한승재 / 푸하하하 건축사무소 소장 : 억지스럽게 공포 분위기를 연출하는 게 아니고 서스펜스가 제가 생각하기로는 어떤 익숙한 맥락에서 벗어났을 때 사람들이 그 환경에 몰입하게 되는 것 같거든요.] <br /> <br />남녀 배우가 도스토옙스키의 걸작 '죄와 벌' 해석을 놓고 다투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연기 방식을 놓고 갈등을 빚다 점차 증오감에 사로잡히는 섬뜩한 순간을 보여줍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선보인 일련의 작품들은 가상현실 속 갈등과 불안을 재조명함으로써 역병과 재난의 현실을 되돌아보게 보게 합니다. <br /> <br />[이지회 /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: 디스토피아 이미지 혹은 최악의 상황에 대한 그런 이미지를 만들면서 그 너머의 다른 세상, 그러니까 디스토피아 이후엔 무엇이 있는가, 그 너머의 세상을 상상하게 하는 그런 작품들로 구성돼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팬데믹과 같은 비대면의 한계를 극복해 관객과 만나려는 미술 한류 프로젝트로 누구나 온라인으로 접속해 작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21년 온라인 플랫폼 첫 개설 이후 지금까지 108개국에서 4만여 명이 감상했고, 북한에서도 접속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교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교준 (kyoj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043004305308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