임박한 美 디폴트 위기…백악관은 "의회와 협상 없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정부의 채무불이행, 디폴트 가능성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, 조 바이든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간 협상 테이블이 마련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백악관은 '협상 불가' 입장을 재천명해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는 9일 여야 지도부를 백악관으로 초청한 바이든 미국 대통령.<br /><br />그러나 백악관은, 부채 한도 이슈는 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재차 못 박았습니다.<br /><br /> "의회에 주어진 제한된 시간을 감안할 때 '채무불이행'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하고 실질적인 방법은, 의회가 조건 없이 부채 한도를 유예하는 것임이 분명합니다."<br /><br />현재 미국 정부의 부채 상한은 31조4천억달러인데 다음 달 1일이면 정부 빚이 이 한도에 육박할 것이라고, 재닛 옐런 재무장관은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과 민주당은 공화당이 무조건 부채 한도를 증액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반면, 하원을 장악하고 있는 공화당은 지난달 말 정부 지출 삭감과 부채 한도 상향을 연계한 법안을 단독 처리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이번 회동에서 의회가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압박하며, 예산 처리를 위한 별도 절차에 들어갈 것을 촉구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양측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만큼, 만나더라도 돌파구가 마련되긴 힘들 것이라는 관측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011년 오바마 행정부 당시에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돼, 미국 국가신용등급이 한 단계 하향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끝내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다면, 미 연방정부가 디폴트 상태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순 없습니다.<br /><br />이 경우 수백만 명의 실직, 기업 파산, 금융시장 혼란 등 큰 고통과 함께 전 세계 경제에도 약영향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그동안 '금단의 영역'이었던 수정헌법 14조를 적극적으로 해석해, 의회 승인 없이 대통령 권한으로 부채 한도를 늘리자는 논의도, 물밑에서 확산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바이든 행정부는, 공식적으로 이 문제는 의회가 해결해야 한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. (sunny10@yna.co.kr)<br /><br />#디폴트 #채무불이행 #미국 #백악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