용산 미군기지 일부가 120년 만에 시민들의 품에 돌아왔지만, 오염된 토양 문제는 여전히 우려로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단체들은 환경 정화가 우선이라며 졸속 개방 철회를 요구하고 있지만, 국토부는 오염 물질 노출 가능성을 원천차단해 안전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용산 주한미군기지가 120년 만에 어린이 정원으로 탈바꿈한 첫날. <br /> <br />환경단체들은 오염 상태의 임시 개방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토양이 기름에 오염된 정도를 의미하는 석유계 총 탄화수소, TPH가 기준치를 초과했다며 오염된 땅을 흙과 잔디로 덮는 건 졸속 조치에 불과하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다예 / 녹색연합 활동가 : 정화는커녕 겉만 번지르르하게 흙을 덮고 잔디와 꽃으로 식재를 한 들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시민들의 안전과 건강은 전혀 보호받을 수 없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[김종곤 / 신용산초등학교 학부모 : 저는 우리 아이에게 이곳을, 우리 부모님께서 가지 못하도록 했듯이 우리 아이도 절대 가지 말라고 말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한국환경공단 보고서를 보면, 이번에 공개된 어린이 정원 가운데 축구장과 야구장으로 조성된 스포츠필드 부지에서 TPH 최고 농도가 기준치의 36배. <br /> <br />홍보관이 있는 장군 숙소 단지와 잔디 마당으로 꾸며진 야구장 부지에서는 각각 기준치의 29배, 9배가 검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이 수치는 특정 지점의 최고 농도에 불과하다며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개방한 부지 전체에 15cm 이상 두텁게 흙을 쌓아 시민들이 오염된 토양에 노출될 가능성을 원천차단했고, <br /> <br />세 차례에 걸쳐 공기 질을 측정한 결과 오염 물질이 주변 지역과 비슷한 수준으로 환경 기준을 모두 충족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종빈 / 국토교통부 공원운영과장 : 이렇게 계속 검증해서 안전성을 확인하고 국민께서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게 저희가 지속적으로 철저하게 관리하도록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환경 단체는 흙이 빗물에 씻겨나가 오염된 토양이 드러날 수 있는 등 위험 요소가 여전하다고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관련 정보를 공개하라고 요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정규석 / 녹색연합 사무처장 : 정말로 안전하다면 어떻게 조사를 했는지, 어디를 조사했는지, 어느 기간 동안 조사했는지, 과학적으로 근거로 활용될 수 있게끔 공개를 해야겠죠.] <br /> <br />부지 반환 절차가 완료되고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촬영기자: 윤원석 이근혁<br />그래픽: 이지희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50422220533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