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제강점기 조선인들이 일본군이나 전범 기업에 강제동원된 아픈 역사는 일본뿐만 아니라 국내에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YTN은 오늘부터 사흘 동안 사라져가는 국내 강제동원의 현장을 조명합니다. <br /> <br />인천 부평에는 일본 육군이 무기 공장으로 썼던 조병창 건물이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만 명 가까운 조선인들이 일본군의 노역에 동원된 역사의 현장인데, 공원 조성을 위한 철거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민대홍 피디가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PD 리포트] <br />인천 부평의 미군기지, 캠프 마켓. <br /> <br />건물 상당수는 1941년 지어진 일본 육군 무기 공장, 조병창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병원으로 썼던 건물 주변에 철거를 위한 가림막이 설치됐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전쟁 이후엔 미군이 사용했는데 지금은 공원 조성 진행 중입니다. <br /> <br />[일본육군조병창 역사문화생태공원 추진협의회 : 인천시와 국방부는 즉각 조병창 병원건물 철거를 중지하라. 중지하라. 중지하라. 중지하라.] <br /> <br />일제강점기 강제동원의 역사를 지워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입니다. <br /> <br />[이민우 / 일본육군조병창 역사문화생태공원 추진협의회 : 강제 동원의 역사를, 그다음에 일본 침략의 증거를 이렇게 빨리 없애버리려고, 어떻게든지 없애버리려고 이렇게 하는 건지….] <br /> <br />일본군이 작성한 극비문서인 인천 조병창 상황보고서를 보면 이곳에 강제동원돼 노동력을 착취당한 조선인은 9천여 명, 인천과 서울에서 중학생 약 930명을 데려다 일을 시켰다는 기록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지영례 / 조병창 강제동원 피해자(구술자료) : 이제 몸을 몹시 다쳐서 기계 만지는 데니까…. 거기 일하는 애들이 젊은 애들인데 참… 다친 애들도 많고 하루에 아마 팔 다친 애들이 한 댓 명 와요.] <br /> <br />강제노동의 현장이지만 보존 가치에 대한 판단은 뒷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군에 공여했던 토지를 돌려받은 국방부가 미군공여구역법에 따라 건축물과 토양 오염 등을 제거해야 한다는 이유로 철거가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 경우에도 사업시행자인 인천시가 건축물을 계속 활용하기를 원하면 남겨둘 수 있는데 현실은 경제성이 우선입니다. <br /> <br />[조건 /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: 환경 오염 제거라는 표피를 쓰고 있지만 혹시 속으로는 개발이라고 하는 또 다른 부를 창출하기 위한 그런 내면의 욕심들은 숨어있지 않은 지 스스로 좀 되돌아볼 필요가 있어요.] <br /> <br />인천 부평구는 지난달 조병창 병원 건물 해체 공사를 승인했습니다.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민대홍 (mindh092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50505432238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