수도권매립지공사의 관할권 이관 문제를 놓고 인천시와 수도권매립지공사 노조가 갈등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천시는 2015년 환경부, 서울시, 경기도와 합의한 대로 이관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고, 매립지공사 노조는 당시 합의가 졸속으로 이뤄진 만큼 받아들일 수 없다며 맞서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월, 한화진 환경부 장관과 수도권 광역 단체장 3명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해 대체매립지 조성 문제 등을 논의하기 위해섭니다. <br /> <br />한 달여 뒤 열린 4자 국장급 회의에서는 현재 환경부 산하 기관으로 돼 있는 수도권매립지공사의 관할권을 인천시로 이관하는 문제가 도마에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인천시는 지난 2015년 환경부를 포함한 4자 협의체가 2016년 종료 예정이던 매립지를 2025년까지 연장하는 대가로 매립지공사 관할권을 인천시로 이관하기로 한 만큼 약속을 이행할 것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천시는 당시 합의가 30년 넘게 수도권 쓰레기를 수용한 인천시에 대한 일종의 보상안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천시는 지난달 매립지공사 노조와 매립지 주민지원협의체에 관할권 이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대화 요청 공문을 발송했습니다. <br /> <br />관할권 이관을 위해선 4자 협의 외에도 매립지공사 노조와 주변 지역 주민들과의 갈등을 해소해야 한다는 조항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조항용 / 인천시 매립종료팀장 : 인천 시민들이 그동안 30년 넘게 수도권의 쓰레기들을 계속 받아왔거든요. 그거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관리공사 이관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대해 매립지공사 노조는 관할권을 인천시로 이관할 경우 국가 폐기물 처리 체계에 큰 혼란이 발생하고, 수도권 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가 불확실해 질 거라며 반대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2015년 4자 협의가 주민 참여나 전문가 공청회 없이 졸속 추진됐던 만큼 합의도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성호 / 수도권매립지공사 노조위원장 : 전체 환경 시설들을 환경 관리하는데 연간 300억씩 투자를 하고 있어요. 그런데 한 개 지자체에서 운영하게 된다면 그 많은 비용을 감당을 못하겠죠.]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관할권 이관 문제로 소모전을 펼치기보다는 당장 시급한 현안인 수도권 소각시설 확충과 대체 매립지 조성 등을 위해 국가적인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51306303194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