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년 뒤 완공되는 울릉공항을 오갈 소형 항공기가 동해 상공을 가르며 시범 비행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울릉도에 이어 흑산도와 백령도 등 도서 지역에 소규모 공항이 잇따라 문을 열면 우리나라 하늘길도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윤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대 140명까지 태울 수 있는 항공기에 승객이 하나둘 올라섭니다. <br /> <br />비행기가 서서히 움직이고, 동해 한가운데 있는 울릉도까지 가뿐히 날아갑니다. <br /> <br />세계 최대 규모 중소형 항공기 제작 업체의 비행기가 울릉 공항 개항에 앞서 시범 비행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활주로 길이가 천200m로 짧은 공항 특성에 맞는 여객기로 안정적인 운항이 가능한지 하늘길을 먼저 둘러본 겁니다. <br /> <br />업체는 울릉도뿐 아니라 흑산도와 백령도에 잇따라 문을 여는 소규모 공항을 염두에 두고 국내 진출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[마틴 홈즈 / 엠브레어 총괄부사장 : 최대 140명을 태울 수 있는 비행기는 소형 공항이나 중소도시를 연결하는 데 적합합니다. 이런 한국에서 사업할 기회를 얻어서 매우 고무돼 있습니다.] <br /> <br />3년 뒤 울릉 공항이 문을 열면 서울에서 울릉을 오가는 시간은 7시간에서 1시간으로 대폭 줄어듭니다. <br /> <br />지역 관광 산업도 획기적인 변화를 앞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남한권 / 경북 울릉군수 : (공항 개항까지) 이제 3~4년 남았습니다. 그 전에 기본 관광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고 그중에 가장 큰 문제가 숙소 문제입니다. 그 부분을 집중해서 해결토록 노력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항공기 업체와 협약을 맺은 경상북도는 항공 정비산업을 또 하나의 먹거리로 키워 나간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이철우 / 경상북도지사 : 울릉공항, 포항경주공항, 울진공항, 예천공항, 대구경북신공항…. 이렇게 공항을 많이 가지고 있는 지역도 경상북도밖에 없습니다. 비행기 정비 사업 등 항공 산업을 확장할 수 있도록….] <br /> <br />도서 지역 공항 건설과 함께 소형기 업체가 시장 개척에 나서면서 우리나라 하늘 지도가 달라지는 계기가 될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이윤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윤재 (lyj1025@ytn.co.kr)<br />촬영기자 : 전기호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051521235131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