태국 총선에서 100년가량 유지되어온 군주제 개혁을 들고 나온 40대 기업인 출신이 이끄는 작은 개혁 정당이 일약 1당이 되는 파란을 일으켰습니다. <br /> <br />군주제 개혁은 군부를 중심으로 한 기득권 세력이 줄곧 반대해 와 태국 사회 갈등의 뇌관으로 재부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상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왕 중심의 입헌 군주제 개혁과 왕실모독죄와 징병제 폐지 등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2030 젊은 세대의 표심을 사로잡은 전진당이 하원 500석의 총선에서 제1당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 집권세력인 군부와 민주개혁 야권진영 간의 대결 구도에서 총 유권자의 약 42%인 41세 이하의 압도적 지지를 받은 기업인 출신 이끈 돌풍입니다. <br /> <br />[피타 림짜른랏 / 전진당 대표 : 놀랄만한 일입니다. '새 시대의 여명'이 왔다고 말합니다. 모든 태국인들은 희망에 가득 차 있고 변화가 오길 희망합니다.] <br /> <br />돌풍의 주역 피타 대표는 42살로 탁신 전 총리의 정당 등과 연정 구성을 통해 자신이 총리를 맡을 것이며 왕실모독죄 개정 등을 추진하겠다고 거듭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[피타 림짜른랏 / 전진당 대표 : 의회가 (왕실모독죄 개정 이슈를) 투명하면서 성숙하게 그리고 포괄적으로 논의하게 할 것입니다. 군주제와 대중과의 관계도 어떤 식으로 이뤄져야 하는지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논의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총리 선출에는 하원 의원 500명 외에 군부가 임명한 상원의원 250명이 참여해 집권에 필요한 최소 의석은 376석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연정으로 309석쯤 확보한 것으로 보여 상원에서 67석 이상을 얻어야 정권 교체가 가능한데 험로가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왕실모독죄 논란은 2020년 젊은 층의 지지를 받던 야당이 해산된 후 시작된 대규모 반정부 시위를 계기로 불거졌는데 중장년 상당수와 군부가 반대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[티티난 퐁수티락 / 쭐라룽컨대 정치학과 교수 : (군부가) 국민의 강력한 권한 선택을 뒤집으려 한다면 결국 사회 불안으로 이어질 것입니다.] <br /> <br />태국은 1932년 이후 쿠데타가 19차례 발생하는 등 군부의 정치 개입이 빈번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상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상우 (kimsang@ytn.co.kr)<br />영상편집 : 이자은<br />그래픽 : 유영준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51606273660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