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G증권발 폭락 사태 진원지로 차액결제거래 지목 <br />전문가 "CFD는 도구…장기간·다단계 행위 주목" <br />거래 지역 달리해 IP 추적 따돌리면 속수무책 <br />금융당국, 최근 10년 동안 이뤄진 거래 전수조사 <br />서로 다른 계좌 사이 비슷한 매매 패턴도 감시<br /><br /> <br />SG증권발 폭락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해 금융당국이 최근 10년 동안 이뤄진 거래에 대한 전수 조사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차액결제거래 'CFD'는 도구에 불과하다며, 다단계 방식으로 장기간에 걸친 주가 조작 수법에 주목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형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근 주가 폭락 사태 진원지로 지목된 건 차액결제거래 'CFD'입니다. <br /> <br />주식 보유 없이, 매매 차액만 결제하는 파생상품입니다. <br /> <br />투자자가 아닌 증권사가 주문을 실행하기 때문에 익명성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. <br /> <br />SG증권발 폭락 사태로 드러난 주가 조작 역시 이런 익명성을 악용해 금융당국이 조사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[김주현 / 금융위원장(지난 11일 국회) : 3,400개 모든 CFD 계좌에 대해서 전수 조사해서 기획 테마 조사하겠다는 말씀을 드리고….] <br /> 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CFD는 도구일 뿐이라며 주가조작 전반을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장기간에 걸친 다단계 행위에 주목해야 한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이정환 / 한양대 경제금융대학 교수 : 단타에 집중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췄는데 (지금처럼) 장기로 주가가 우상향하는 것들에 대해서도 이젠 감시 체계를 두고 거래 같은 것들을 좀 살펴봐야겠죠.] <br /> <br />또 거래 지역을 달리해 IP 추적을 따돌리면 현재 감시망으로는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는 점도 염두에 둬야 한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[성희활 /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: 계좌뿐만 아니라 투자자 명의의 휴대전화를 다 가지고 직접 투자자들의 주소지나 근무지 같은 데 이동해서 그렇게까지 (감시망을) 다 피해 갔다….] <br /> <br />이런 점을 고려해 금융당국은 CFD를 포함해 최근 10년 동안 이뤄진 거래를 전수조사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폭락 사태에서 드러난 수법을 쓴 불공정거래가 더 있었는지 들여다보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장기간에 걸친 시세 조종 행위도 적발할 수 있도록 혐의 종목 선정 기준을 100일 이하 단기에서 반기나 연 단위로 확대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지역적 유사성 외에 서로 다른 계좌 사이에 비슷한 매매 패턴을 나타내는 경우도 감시해 단속망을 촘촘히 하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51622504595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