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부채협상 또 결렬…바이든, 순방 일정 대폭 단축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공화당 지도부가 법정 부채 한도를 높이기 위한 두 번째 회동에 나섰지만, 이번에도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채무불이행, 디폴트 시한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은 협상을 이어가기 위해 내일부터 시작되는 순방 일정을 절반으로 줄였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미 하원의장이 법정 부채 한도 협상을 위해 일주일 만에 백악관에 다시 만났습니다.<br /><br /> "사진 잘 찍어주세요. 우리는 좋은 시간을 갖고 있고 모든 것이 잘 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그러나 바이든 대통령의 기대와는 달리 2차 회동에서도 타결에 이르지는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이번에는 공화당에서도 일부 진전이 있음을 시사하는 발언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 "바이든 대통령이 행정부 인사들과 우리 팀이 직접 협상하는 데 동의했습니다. 이번 주말까지 타결 가능합니다. 합의가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."<br /><br />외신에 따르면 부채 한도 상향을 위해 정부 지출을 삭감할 것을 주장하는 공화당의 요구를 바이든 대통령이 사실상 받아들인 가운데 어떤 항목을 삭감하느냐로 줄다리기를 벌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결국 바이든 대통령은 협상을 이어가기 위해 현지시간 17일부터 시작되는 순방 일정을 대폭 축소했습니다.<br /><br />당초 일본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파푸아뉴기니를 거쳐 쿼드 정상회의가 열리는 호주까지 열흘 가까운 순방을 계획했으나 G7만 참석한 뒤 이번 주말 돌아오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제가 얘기할 수 있는 것은 G7 참석을 위해 히로시마에 간다는 것입니다. 바이든 대통령은 해당 일정을 고대하고 있습니다. 이후의 순방 일정에 대해선 살펴볼 것입니다."<br /><br />조정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일정 단축을 단정짓지 않았던 백악관은 2차 회동에서도 접점을 찾지 못하자 결국 일정 조정을 확정했습니다.<br /><br />디폴트 위기감만으로도 미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며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순방 계획을 취소하는 외교적 결례를 감수하면서까지 협상에 집중하기로 한 것입니다.<br /><br />한편 내달 1일을 채무불이행 시한으로 제시한 재닛 옐런 미 재무 장관은 시간이 바닥나고 있다며 부채한도를 즉각 상향해 줄 것을 거듭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미국부채 #채무불이행 #디폴트 #부채협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