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 대통령과 매카시 하원의장이 미 연방정부 부채한도 협상을 이어갔지만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도 매카시 의장이 협상이 생산적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종수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바이든 대통령과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연방정부 부채한도 상향 문제 논의를 위해 백악관에서 세 번째로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매카시 의장과의 협상에서 진전을 낙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: 채무 불이행이 실제로 테이블 위에 있지 않다는 것에 동의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합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한 시간가량 진행된 협상에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공화당의 예산 지출 삭감 요구에 백악관은 과하단 입장을 보였고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이 부유층 대상 신규 세금을 밀어붙이자 공화당이 거부했다고 로이터통신은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매카시 하원의장은 협상 후 취재진에게 바이든 대통령과의 협상이 "생산적 논의였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케빈 매카시 / 美 하원의장 : 생산적인 토론을 했다고 느꼈습니다. 아직 합의를 보지 못했지만, 의견 차가 있는 분야에서 논의가 생산적이라고 느꼈습니다.] <br /> <br />미 정부가 추산하는 채무 불이행, 디폴트 날짜인 6월 1일을 열흘 남겨놓고 향후 합의 가능성을 열어 둔 셈입니다. <br /> <br />공화당은 저소득층 지원을 위한 일부 프로그램 삭감과 내년 정부 지출 규모를 지난해 수준으로 삭감해야 한단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은 협상에 유연하다면서도 현재 공화당 협상안은 수용 못 한단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양측이 합의에 도달하더라도 공화당 극우 성향 의원들은 공화당 부채한도 법안을 그대로 상원서 처리할 것을, <br /> <br />민주당 극단적 진보 진영은 지출 삭감에 반대하며 바이든 대통령이 자체적으로 부채 한도를 올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어 내부 단속도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종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종수 (jsle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52313333422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