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한류 스타의 중국 방송 출연 불발과 한국 인터넷 접속 차단 등으로 '한한령'이 다시 꿈틀거리는 조짐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중국 현지에선 과거 사드 보복 때와 지금은 분위기가 다르다는 말도 들립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 강정규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류 스타 정용화 씨가 베이징의 한 실용 음악 학원에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8일, 중국 예능 프로그램의 사전 녹화 차원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베이징시 TV 총국이 방송 출연에 제동을 걸면서 빈손으로 돌아가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네이버 접속 차단과 맞물려 중국 당국이 '한한령'에 재시동을 걸었단 말이 나오는 이윱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베이징 외교 소식통들은 일사불란하게 타올랐던 2017년 사드 보복 때와 달리 지금은 견제와 협력의 신호가 엇갈리고 있다고 봅니다. <br /> <br />실제 최근 한국 화장품 수출 재도약을 위한 식약처의 방중 협의가 이뤄졌고, <br /> <br />중국 외교부 아시아 국장도 서울을 찾아 실무 소통 채널 복원의 첫 단추를 뀄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마이크론 반도체 제재 국면에서도 수요의 공백을 메우려면 한국 기업의 협조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[마오닝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(지난 22일) : 관련국 정부와 기업이 중국과 함께 다자간 무역 체계를 유지하고 국제 산업 공급망의 안정성을 유지하길 바랍니다.] <br /> <br />주적이 아닌 모든 세력과 연대한다는 '통일전선' 전략은 과거 '국공내전' 승리의 교본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관가에서조차 사드 사태 때 지나친 한국 때리기가 결과적으로 국익에 보탬이 되지 못했단 자성론이 들리는 배경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과 패권 경쟁에 집중하기 위해서라도 한국을 적으로 돌릴 필요가 없다는 게 중국의 셈법이란 얘깁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정규 (liv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52523251824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