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누리호 3차 발사는 한 차례 실패와 한 차례 성공을 바탕으로 일궈낸 성과입니다. <br /> <br />앞선 경험을 분석하고 부품을 개선해 처음으로 실제 위성을 싣고 실전 발사에 성공한 건데요, <br /> <br />누리호의 지난 발사 기록을 최소라 기자가 되돌아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누리호가 처음으로 우주로 향한 건 2021년 10월 21일입니다. <br /> <br />당시 1·2단은 성공적으로 작동했지만, 3단의 경우 헬륨 탱크 고정장치가 풀리면서 산화제 누설로 엔진이 일찍 꺼졌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누리호는 700㎞ 고도에는 도달했지만, 위성을 궤도에 안착하는 데는 실패했습니다. <br /> <br />[최환석 / 누리호 발사조사위원장 (2021년 12월) : 3단 산화제 탱크 내부에 장착되어있는 헬륨탱크의 고정장치 설계 시 비행 중 부력 증가에 대한 고려가 미흡했습니다.] <br /> <br />실패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항우연은 헬륨 탱크 고정장치를 더 견고하게 만들었고, 산화제 탱크 덮개도 더 두껍게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개선된 부품을 장착한 누리호는 당초 예정보다 한 달 늦춰진 6월, 2차 발사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기상악화로 한 차례 발사가 연기됐고, 발사대에 세워졌던 누리호가 1단 산화제 탱크의 레벨 센서 이상으로 다시 조립동으로 옮겨지는 일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센서 부품을 교체한 누리호는 결국, 예비일 안에 2차 발사에 성공했고, 위성 모사체와 성능검증 위성도 모두 목표 고도에 목표 속도로 올리는 데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종호 / 과기정통부 장관 (2022년 6월 21일) :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성공을 발표합니다.] <br /> <br />이번 3차 발사 때는 발사 세 시간 전 통신 이상이 확인돼 누리호가 기립한 상태로 발사가 하루 연기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발사체 자체 문제는 아니었던 만큼 연구진들의 밤샘 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누리호는 예비발사일 안에 발사됐고, 처음으로 실제 위성을 우주 궤도에 안착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최소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최소라 (csr73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52601481753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