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'부채한도 협상' 합의…양당 강경파 반발이 최종변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국가 채무불이행 시한을 8일 앞둔 시점에서 부채한도 상향에 극적으로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이제 의회 표결 절차가 남았는데, 강경파 설득이 마지막 고비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준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'부채한도' 협상 타결 소식을 직접 전하며 이제 의회로 이동할 준비를 마쳤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(이번 합의는) 파국적 변혁의 위협을 제거하고, 힘들게 얻은 역사적인 경제 회복을 보호하게 될 것입니다. 이번 합의는 또한 그 어느 쪽도 원하는 모든 것을 얻지 못했다는, 타협을 의미합니다.<br /><br />이번 합의안의 골자는 31조 4000억 달러인 부채 한도를 늘리되 정부 지출을 2년간 제한하는 겁니다.<br /><br />여기에는 정부 복지 수혜자의 근로 요건을 강화하는 내용도 담겼습니다.<br /><br />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도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정부 지출 삭감을 관철시켰음을 강조하며 부채협상 타결안에 만족감을 표했습니다.<br /><br /> "당내 의원 95% 이상이 매우 고무적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습니다. 생각해 보세요. 우리는 마침내 정부 지출을 줄였습니다. 매년 지출을 줄이는 데 투표하는 첫 번째 의회가 됐습니다."<br /><br />그러나 표결에 자신감을 보이는 매카시 의장과 달리 공화당 강경보수 의원들은 더 큰 폭의 지출 삭감을 요구하며 반대하고 있어 이들을 설득하는 것이 마지막 관문이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민주당 일각에서도 얻은 게 없는 협상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양당은 내부 설득을 거쳐 미국 현충일 연휴가 끝나는 31일 추인 절차에 나설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준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