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북한, 정찰위성 발사…"빠른 시일 내 2차 발사"

2023-05-31 5 Dailymotion

북한, 정찰위성 발사…"빠른 시일 내 2차 발사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오늘(31일)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으로 '우주발사체'를 발사했다고 우리 군 당국이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오래전부터 발사를 예고했던 정찰위성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우리 군은 실패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북한도 발사시 사고가 있었다며 실패를 인정하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보도국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.<br /><br />최지원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합동참모본부는 오늘 북한이 오전 6시 29분쯤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으로 북한이 주장하는 '우주발사체'를 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합참에 따르면 이 발사체는 서해 백령도 먼 상공을 통과해서 어청도 서쪽 200여km 해상에 떨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북한은 5월 31일 0시부터 6월 11일 0시 사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일본과 국제기구 등에 통보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늘이 발사를 예고한 첫날인데,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 날씨가 맑아 정찰위성 발사를 감행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리병철 북한 노동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이 어제 "6월에 곧 발사할 것"이라는 입장을 밝혀 6월 초 발사 가능성이 제기됐지만, 좀 더 일정을 당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<br /><br />합참은 "이 발사체가 백령도 서쪽 먼바다 상공을 통과하여 어청도 서방 200여km 해상에 비정상적 비행으로 낙하했다"고 실패에 무게를 뒀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군은 낙하한 북한 발사체 잔해 수거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수거에 성공하면 추진체 엔진의 성능과 외국 부품 사용 여부, 기술 수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합참은 "우리 군은 경계태세를 격상한 가운데 한미 간 긴밀하게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"위성 발사"라고 주장하며 장거리 로켓을 쏘아 올린 건 이번이 6번째로, 2016년 2월 이후 7년 만입니다.<br /><br />6차례 '위성' 발사 중 1998년 8월 '광명성 1호', 2009년 4월 '광명성 2호', 2012년 4월 '광명성 3호'는 발사에 실패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2012년 12월 '광명성 3호' 2호기와 2016년 2월 '광명성 4호' 위성은 궤도 진입에 성공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서해 해상에 발사체가 떨어졌다는 건데, 관련해서 북한이 이례적으로 빠르게 실패를 인정하는 듯한 언급을 했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서 비교적 신속하게 발사 소식을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또 군사정찰위성 발사 시에 사고가 있었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이번에 발사한 위성이 '만리경-1호'이며, 신형위성운반로켓은 '천리마-1형'이라고도 전했습니다.<br /><br />구체적으로는 "2단 엔진 시동 비정상으로 인해 추진력을 상실하면서 서해에 떨어졌다"고 실패 원인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한 국가우주개발국은 "엄중한 결함을 구체적으로 조사 해명해 가급적 빠른 기간 내에 제2차 발사를 단행할 것"이라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이 2차 발사가 일본에 원래 통보했던 발사 기간인 오늘(31일)부터 다음 달 11일 사이에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(jiwoner@yna.co.kr)<br /><br />#북한_정찰위성 #동창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