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원자력기구 IAEA가 일본의 오염수 분석 방법과 능력이 적절하고, 제3실험실과 교체 분석을 한 결과, 유의미한 방사능 핵종이 추가적으로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1차 시료 분석에 원자력안전기술원이 참여해 교차 검증에 나섰는데, 이번 IAEA 보고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은 또 한 번 보류로 남았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에 양훼영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21년 한국과 미국 등 국제전문가 11명으로 구성된 IAEA 모니터링 TF. <br /> <br />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류에 앞서 처리 과정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검증을 위해 활동을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3월에는 방류 직전 오염수가 담겨 있는 K4 탱크에서 오염수를 채취해 시료 분석을 진행했고, 그 결과를 6차 보고서로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IAEA는 산하 연구소 3곳을 포함해 한국과 미국, 프랑스 등 총 7곳의 실험실에서 오염수 교차 분석을 통해 방사능 핵종 농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, 알프스로 처리된 오염수에서 주요 핵종 28개의 농도가 각 실험실 별로 차이가 없었으며, 주요 핵종 이외에는 유의미한 추가 핵종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IAEA는 오염수 속 방사능 핵종을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쿄전력이 선택한 방법이 적절하고 적합했으며, 도쿄전력의 분석 방법과 능력이 높은 정확도를 갖췄다고도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임승철 / 원자력안전위원회 사무처장 : IAEA에서 종합한 결론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시료 채취의 절차 및 핵종 분석 방법 등 오염수 모니터링에서 높은 수준의 정확성과 능력을 보였습니다] <br /> <br />IAEA는 지난해 10월, 또 다른 탱크에서 2, 3차 오염수 시료를 채취해 우리나라와 함께 핵종 분석을 진행하고 있는데, 우리는 이달 말까지 분석 결과를 제출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2, 3차 시료 분석 결과와 해양 환경 모니터링 결과까지 담는다면, 최종 보고서 발표 시기는 좀 더 늦어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 내용을 뺀 상태에서 이달 안에 최종보고서가 나올 가능성도 없지 않은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시료 분석 교차 검증에 우리 실험실이 참여한 만큼 일본의 오염수 농도 분석 능력이나 IAEA 보고서에 대한 우리 정부의 입장을 기대했지만, <br /> <br />원자력안전위원회는 아직은 시기상조라며 또다시 평가를 뒤로 미뤘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양훼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60118145377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