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제원자력기구 IAEA가 일본의 오염수 분석 방법과 능력이 적절하고, 제3실험실과 교체 분석을 한 결과, 유의미한 방사능 핵종이 추가적으로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원자력안전위원회가 IAEA의 이번 보고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자리를 마련했는데요. <br /> <br />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인지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성규 기자! <br /> <br />원안위가 설명한 IAEA의 6차 보고서 내용, 구체적으로 어떤 건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먼저 이번에 발표된 IAEA의 6차 보고서는 지난해 3월 K4 탱크에서 채취한 오염수를 대상으로 28개의 주요 방사능 핵종의 농도 분석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이 오염수는 다핵종제거설비인 알프스로 처리된 뒤 탱크에 저장된 오염수, 그러니까 해양 배출 직전의 오염수로, IAEA 입회 하에 도쿄전력이 채취한 건데요. <br /> <br />IAEA는 산하 연구소 3곳을 포함해 한국과 미국, 프랑스 등이 포함된 제3자 실험실 4곳에 채취한 오염수 시료를 보냈고, 교체분석을 통해 방사능 핵종 농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겁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, 알프스로 처리된 오염수에서 주요 핵종 28개의 농도가 각 실험실 별로 차이가 없었으며, 주요 핵종 이외에는 유의미한 추가 핵종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IAEA는 오염수 속 방사성 핵종을 분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쿄전력이 선택한 방법이 적절하고 적합했다고 밝혔고요. <br /> <br />또, 도쿄전력의 분석 방법과 능력이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보고서에 있어 원자력안전위원회는 IAEA가 데이터 확증을 위해 제3자 실험실을 통해 상호 교차 분석을 진행했으며, 여기에 원자력안전기술원, KINS 실험실에 참여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원안위는 이번 IAEA의 보고서가 도쿄 전력의 능력을 인정해줬다는 거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대해서는 아직 최종 보고서가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그런 평가는 시기상조라며 별도의 언급을 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니까 사실상 도쿄전력이 수행한 오염수 농도 분석이 제대로 이뤄졌다, 그리고 데이터를 조작하지 않았다는 것이 IAEA의 보고서 내용인데, 우리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 보고서 자체에 대해서는 평가를 하지 않았다는 거군요. <br /> <br />그러면 IAEA의 최종 보고서는 언제 나오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6차 보고서는 오염수 대상 확증 모니터링 활동 가운데 1차 시료를 분석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성규 (kgb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601142901099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