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 초계기 갈등 4년 만에 봉합 수순…"재발방지책 마련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국과 일본 국방 교류의 최대 걸림돌인 '초계기 갈등'이 4년 만에 봉합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싱가포르에서 열린 한일 국방장관 회담에서 양측은 재발 방지책을 마련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.<br /><br />방준혁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싱가포르에서 열린 '샹그릴라 대화'를 계기로 마주 앉은 한일 국방장관.<br /><br />한일 국방장관 회담이 열린 것은 문재인 정부 때인 2019년 11월 이후 약 3년 반 만입니다.<br /><br />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북핵 대응을 위한 한일·한미일 안보 협력의 중요성에 공감하고 소통을 늘리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'초계기 갈등'을 두고 재발 방지책을 마련해나가기로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 "그 문제(초계기 갈등)는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고 실무 협의부터 시작해서 해결해나가기로 했습니다."<br /><br />'초계기 갈등'은 2018년 12월과 이듬해 1월 일본 초계기가 저공 비행으로 우리 해군 함정을 위협한 사건입니다.<br /><br />당시 "한국군이 초계기를 향해 공격용 레이더를 조준했다"고 주장한 일본에 우리는 "그런 적이 없다"며 맞섰고, 이후 한일 군사협력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해왔습니다.<br /><br />국방부 관계자는 "양국 국방 당국의 입장은 변함이 없다"면서도 "양측의 입장을 그대로 두고 재발방지책을 마련해 나가는 것으로 합의가 됐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하마다 방위상도 재발 방지책 협의를 시작하는 데 의견이 일치했다고 밝혔다고 일본 언론이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양국 정상이 잇따른 회담을 통해 관계 정상화를 선언한 만큼 국방 당국도 초계기 갈등을 봉합하는 모양새를 취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이번 회담에서 양측은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와 관련해 "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 위반"이라며 한목소리로 규탄했습니다.<br /><br />아울러 지역이나 글로벌 과제에 대해서도 논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국방부는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.<br /><br />bang@yna.co.kr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