군 당국이 서해 상에 추락한 북한 우주발사체 동체 잔해 일부에 대한 인양 작업을 엿새째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는 설비 이동 움직임이 계속 포착되고 있어 정부가 2차 정찰위성 발사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조수현 기자! <br /> <br />인양 작업 진행 상황부터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해 상에 추락한 북한 우주발사체 동체 잔해에 대한 인양 작업이 엿새째 이어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군은 수중 상황에 따라 인양 시점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성준 합참공보실장은 현장 유속이 빠르고 시야가 좋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고, 장병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원통형의 동체 잔해에 고장력의 밧줄을 묶어 끌어올려야 하는데, 수심 75m까지 가라앉은 상태라 쉽지 않은 작업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군은 현재 해군 함정과 항공기를 투입해 또 다른 발사체 잔해도 수색하고 있지만, 아직 추가로 식별된 건 없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은 군사정찰위성 1차 발사에 실패한 뒤 2차 발사를 예고한 상태인데, 동창리 발사장에서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지난달 31일 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는 기존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인근 해안에 건설된 신규 발사장에서 진행됐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에 동향이 포착된 곳은 서해위성발사장의 기존 시설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소리, VOA 방송이 미국 민간 위성업체 '플래닛 랩스'가 지난 3일 촬영한 사진을 바탕으로 내놓은 분석인데요. <br /> <br />발사체를 옮기고 수직으로 세워 발사대에 장착시키는 설비인 이동식 건물이 발사 패드 중심부로 이동한 상태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 건물은 지난달 29일엔 발사대 바로 옆에 있었는데 이번에는 약 100m 떨어진 지점으로 위치를 옮긴 모습이 포착된 것입니다. <br /> <br />군 당국은 한미 정보당국이 동창리 지역을 계속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2차 발사 시기와 관련해 다양한 가능성을 두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앞으로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하기 전 국제해사기구, IMO에 통보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정부는 국제 규범, 상식과 점점 멀어지고 있는 북한의 태도에 매우 실망스럽다며 그러한 태도는 국제적인 고립과 주민들의 고통을 심화시킬 뿐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060514054314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