또래 여성을 살해한 정유정의 범행 동기는 아직 명확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사이코패스 검사 결과는 정상인 범주를 벗어나, 연쇄 살인마 강호순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"진짜 말 없고 혼자 다니고 반에서 존재감 없는 애였는데. 그 당시에 친구가 없었고….“ <br /> <br />동창들은 정유정을 이렇게 기억합니다. <br /> <br />친구 없이 혼자 다니고 인사도 받지 않는, <br /> <br />말 그대로 혼자였습니다. <br /> <br />성인이 된 후에도 수년 동안 비슷한 생활을 한 것으로 전해진 만큼, <br /> <br />거의 10년 가까이 사회와 단절됐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은둔형 외톨이, <br /> <br />반사회적 인격장애가 범죄 형태로 표출되는 데 영향을 줬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비슷한 얘기를 5년 전에도 들었던 적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강서구 PC방에서 아르바이트생을 살해했던 김성수입니다. <br /> <br />[김성수 / 당시 서울 강서구PC방 살인 사건 피의자 : 그냥 평생 이렇게 살아야 하나 생각하니 죽고 싶은 마음도 들었고 그러다 보니 피해자에 대한 두려움 망설임이 사라졌고 같이 죽이고 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] <br /> <br />한 사람이 고립되고 은둔하게 되는 원인은 다양하겠지만, <br /> <br />사회 구조적인 문제도 그중에 하나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그럼 우리 사회 다른 청년들은 어떨까요? <br /> <br />2021년 기준 고립·은둔하는 청년은 50만 명이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다른 사람과의 의미 있는 사회적 관계, 그리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지 체계가 결핍된 청년을 의미합니다. <br /> <br />전체 청년 인구를 봤을 때 <br /> <br />100명당 5명 정도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2019년 3.1%였는데 <br /> <br />불과 3년 만에 20만 명 이상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 특정인이 아닌 우리 삶에 불거지는 문제인 겁니다. <br /> <br />물론 은둔형 외톨이가 잠재적 범죄자라는 걸 의미하는 건 아닙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우리가 관심을 갖고 들여다봐야 하는 부분인 건 분명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이수정 / 경기대학교 범죄심리학과 교수 : 은둔형 외톨이가 그럼 다 살인범이 되느냐,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. 그것보다는 오히려 본인 자신에게 훨씬 위험한 행위를 많이 하는 편이고요. 그렇기 때문에 지금 은둔형 외톨이가 범죄의 원인이었다, 이렇게 얘기하기는 어려우나 그러나 100명이라면 1~2명 정도가 자신에게 발생한 사회적인 관계의 단절 이것을 결국 문제 행동으로 폭발적으로 어느 순간에 외연화하는 사람들이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은솔 (eunsol0428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60811595927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