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의대 정원 증원'엔 합의…규모·방식은 오리무중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필수의료 인력 부족으로 각종 기현상이 반복되면서 의사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단 정부와 의사단체가 증원에는 합의를 했는데, 구체적인 규모와 방식, 시기를 놓고 진통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최덕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경기도 용인에서, 지난 3월 대구에서, 응급환자가 응급실을 전전하다 숨진 이른바 '응급실 뺑뺑이'.<br /><br />부모들이 소아과가 문을 열자마자 길게 줄을 늘어서는 '소아과 오픈런' 현상.<br /><br />분만실을 찾아 먼 길을 떠나는 임산부들까지.<br /><br />필수의료인력 부족이 심화해 의사 확충이 시급하단 여론이 거세지자 보건복지부와 의사협회가 떠밀리듯 의대 정원 증원에는 합의했지만, 2025년도 입시부터 증원을 반영한다는 것 외에는 진전이 없는 상태입니다.<br /><br />결국 관건은 얼마나 늘리냐인데, 현재 의대 정원은 2006년 이후 17년째 3,058명으로 묶여 있습니다.<br /><br />전체 의사 수 역시 인구 1,000명 당 2.5명으로, 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3.7명에 한참 못미칩니다.<br /><br />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추산으론 2025년엔 의사 5,516명이, 2035년엔 2만 7,232명이 부족할 것이란 추계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복지부와 의협은 이달 중순 다시 만나 증원 규모를 논의할 계획인데, 문제는 양쪽 시각차가 너무 크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최소한 의약분업 사태 당시 줄어든 351명은 복원해야 한다는 게 여론이지만 의협은 의사들을 필수 의료쪽으로 유도하는 게 우선이라며 증원에 소극적입니다.<br /><br /> "351명은 생각도 안 하고 있어요. 100명 늘려가지고 그중에서 필수 의료로 가는 사람은 10%도 안되고 그러면 늘리는 효과가 없고 계속 필수 의료 의사는 부족하게 되는 거고요."<br /><br />다만, 피부과·성형외과 같은 인기 과목이나 수도권으로의 쏠림을 막기 위해, 인력 확보와 더불어 응급의학과나 소아청소년과에 대한 지원 확대가 필요하단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의대정원 #확대 #소폭 #필수의료 #재배치 #지원 #의사부족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