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는 하반기 경제정책의 우선 순위를 수출과 투자 활성화에 초점을 맞추고 총력을 다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성장률은 기존보다 0.1% 포인트 낮춘 1.5% 전망에 무게가 실리는 흐름 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오인석 기자 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번 달 들어 한국개발연구원 KDI가 경기 저점을 시사하는 지표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한 데 이어 정부는 우리 경제의 하방 위험이 다소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경기가 회복된다는 것이 대체적인 견해라고 정부는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 진단이 바뀐 데는 무엇보다 수출에서 다소 개선 조짐이 나타나고 있는 영향이 큽니다. <br /> <br />6월 들어 20일까지 수출은 1년 전보다 5% 늘며 10개월 만에 증가를 기록했는데, 정부는 수출이 올해 1월을 저점으로 점차 바닥을 다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하반기 IT 수출의 회복 시기와 강도가 우리 경제의 반등 흐름과 직결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 초쯤 발표할 것으로 예상되는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도 수출 활성화를 총력 지원하는 방안이 담길 것으로 전망 됩니다. <br /> <br />[추경호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(지난 21일) : 수출·투자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우리 산업의 수출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하고, 기업이 투자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정책역량을 집중해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정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1.6%에서 소폭 하향 조정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 흐름 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 업황이 1분기 부진하면서 0.1% 포인트 낮춘 1.5%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한국은행은 올해 성장 전망치를 1.4%, KDI는 1.5%로 각각 하향 조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면서 연간 인플레이션 전망치는 기존 3.5%에서 소폭 하향 조정이, 취업자 증가 폭은 30만∼40만 명 범위에서 등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오인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이영훈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오인석 (insuko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62514451735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