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국어 평이·수학 난해' 6월 모평…엇갈린 킬러문항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킬러문항' 논란에 결정적 불씨를 지핀 6월 수능 모의평가 결과가 나왔는데, 정부가 꼽은 '공교육 밖 문항'의 위력이 과목별로 조금 달랐습니다.<br /><br />킬러문항 핀셋 배제 방침이 현장에 혼선을 주지 않도록 좀 더 꼼꼼한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안채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6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살펴본 다수의 전문가들은 "국어는 지난해 수능과 비슷했고, 수학은 어려웠다"고 봤습니다.<br /><br />출제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수장이 사임하는데 결정적 계기가 됐던 '비문학 지문' 등 '킬러문항' 2개가 포함된 국어에서 만점자가 지난해 수능보다 4배 많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교육부가 선정한 '킬러문항' 3개가 출제된 수학은 만점자가 30% 가량 줄어 난이도가 상당했습니다.<br /><br />교육부가 문항별 정답률을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이번 모의평가가 실제 수능이었다면 국어의 경우 '킬러문항' 없이 변별력을 가르기 더 어려웠을 것이고, 수학은 높은 난이도 탓에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이과생들 때문에 문과생들이 입시에서 피해보는 상황이 생겼을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상황이 이렇다보니 '킬러문항'을 없애겠다고 밝힌 교육당국이 9월 모의평가 문제를 어떤 식으로 준비할지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무엇보다 수능이 5개월도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문제 출제방식의 변화가 예고돼 수험생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는 상황.<br /><br /> "이렇게 킬러 문항의 개념을 모호하게 기준을 정해놓은 건 어찌 보면 현장을 훨씬 더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는 여지를 남겨두었다…"<br /><br />일각에서는 정부의 '킬러문항' 배제 방침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며 당국의 기민한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은 SNS를 통해 "킬러문항 출제 부작용에 공감한다"며 "이주호 부총리와 여야정당 등이 모여 토론하자"고 제안해 눈길을 끌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. (chaerin163@yna.co.kr)<br /><br />#킬러문항 #수능 #공교육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