우리나라와 일본이 7년 만에 재무장관 회의을 열고 경제·금융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회담에서는 특히 금융 위기 상황을 대비한 '통화 스와프'를 8년 만에 재개하는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의견을 나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 현지 연결합니다. 김세호 특파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도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7년 만에 재개된 한일 재무장관 회의, 어떻게 진행됐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. 한일 재무장관 회의는 오늘 오후 2시 반부터 일본 재무성에서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측은 추경호 경제부총리 일본 측은 스즈키 슌이치 재무상이 각각 대표로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회의에서는 국제 금융 의제와 제3국 인프라 공동진출 협력, 또 역내금융 안전망과 금융·조세 관련 협력 등이 논의됐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번 재무회의에서 주목되는 것은 한일 간 통화교환 협정인 '통화 스와프' 재개입니다. <br /> <br />외환위기 같은 비상상황에서 상대국에 자국 통화를 맡기고, 상대국 통화나 달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협정인데, <br /> <br />한일 간에 한국 원화를 일본이 가진 달러화로, 일본이 가진 엔화는 한국이 가진 달러화로 교환하는, 달러화 기반 방식이 거론돼 왔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통화스와프 체결 규모는 최소 20억 달러에서 최대 100억 달러에 이를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 회의에서 한일 간 통화 스와프 재개가 결정된다면 어떤 의미를 갖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일 통화스와프는 지난 1990년대 후반 아시아 외환 위기를 계기로 2001년 7월부터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20억으로 시작한 통화스와프의 규모는 2011년 700억 달러까지 늘었지만 이후 한일 관계가 나빠지면서 2015년 2월부터 중단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윤석열 정부 들어 한일 관계 개선 움직임과 맞물려 '통화스와프'를 재개하자는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사실 우리로서는 한일 통화 스와프가 절박하게 필요한 정도는 아니라는 게 중론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월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화 보유액은 4,210억 달러로, 외환위기 전후에 비해 10배 이상입니다. <br /> <br />2008년 미국의 리먼 쇼크 때도 한일 통화 스와프는 발동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그럼에도 통화 스와프 재개는 경제 금융 분야의 한일 관계 복원이라는 상징적 의미가 큽니다. <br /> <br />앞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한일 통와 스와프에 대해 반드시 환율 안정을 위한 것이 아니고, 한일 경제교류 등을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세호 (se-3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62916291447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