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 시장이 바닥을 지났다는 기대감에 집을 사려는 수요가 반등하며 가계 대출이 두 달째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은행 연체율도 급등해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이형원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계 대출 규모가 계속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가계대출 잔액은 678조 원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두 달 연속 는 건데, 증가 폭은 더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신용대출은 줄었지만, 주택담보대출이 1조 원 넘게 늘면서 전체 규모를 끌어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[허준영 /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 (굿모닝와이티엔 출연) : 부동산 시장, 특히 서울이나 수도권 지역의 아파트를 중심으로 바닥을 쳤다는 심리가 있으니까 이 부분들이 주택 관련 수요와 함께 가계대출 증가세로 가는 거고요.] <br /> <br />문제는 불안한 연체율입니다. <br /> <br />4월 말 기준 은행 대출 연체율은 0.37%로 직전 달보다 0.04%p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0년 8월 0.38% 이후 2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 들어 이자를 제때 갚지 못하는 가계와 기업이 속출하면서, 연체율이 모두 빠르게 오르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금융당국은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지겠지만, 자산 건전성에는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연체율은 0.8%, 이후 평균 0.54%인 점을 고려하면 높은 수준이 아니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다만 전문가들은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급등하면 금융권 전체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대부업 연체율(대형)은 이미 10%를 넘긴 가운데 저신용자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위험도 커져 금융당국 감시와 관리가 더욱 중요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형원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:김희정 <br /> <br />그래픽:이은선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70805101456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