검찰의 특수활동비는 어떻게 쓰이는지 알 길이 없어 과거부터 크고 작은 의혹과 사회적 논란이 불거져왔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시민단체의 소송을 통해 집행 내역이 공개됐지만, 특활비가 제대로 사용됐는지 규명하기엔 한계가 있어 논란을 완전히 잠재우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1년 당시 김준규 검찰총장은 워크숍에서 검찰 간부들에게 특수활동비 수백만 원씩을 담은 돈봉투를 돌린 사실이 알려져 물의를 빚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2017년 4월에는 이영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장과 안태근 법무부 검찰국장이 검찰 간부와 수사팀에게 돈 봉투를 건넨 사실이 알려져 또 한 번 특활비를 둘러싼 사회적 논란이 일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20년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검찰총장 시절 윤석열 대통령의 이른바 '추윤 갈등' 당시에도 추 장관은 총장을 겨냥한 조치로 특활비 집행 내역 조사를 지시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추미애 / 당시 법무부 장관(지난 2020년 11월) : 구체적으로 어떻게 썼는지는 법무부에 보고 안 해서 알 수 없고. 총장 주머닛돈처럼 그렇게….] <br /> <br />그렇게 논란을 키워오던 검찰 특활비는 최근 시민단체가 정보공개 청구 소송을 통해 자료를 받으며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확인된 특활비 집행 절반가량은 정기적으로 일선 검찰청과 특정 부서에 지급되는 정기지급분이었고, 나머지 금액은 검찰총장 몫의 특활비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 가운데 총장실이 쓰는 특활비는 대검 운영지원과로부터 금액을 전달받아 전체 집행 내역과 별도로 그 내역을 정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이중장부가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검찰청은 일부 이관받은 특활비는 전체 내역에 포함된 돈으로 세부적으로 관리하는 차원이지, 별도 계좌는 없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활비 집행 내역이 공개됐지만 대부분은 증빙이 없어 용처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7년 연말엔 남은 특활비를 몰아 쓴 정황이 나타났고, 윤 대통령의 총장 재임 시절인 지난 2019년에도 하루 5천만 원을 쓴 내역이 나오지만 어떤 목적으로 썼는진 알기가 어렵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[하승수 / 시민단체 '세금도둑잡아라' 공동대표 : 연말에 돈 남으면 보도블럭 깔듯이 연말에 돈 남았다는 이유로 일선 검찰청에 한 번 더 특활비를 보낸 걸로 볼 수밖에 없고, 13월의 특수활동비냐.] <br /> <br />단체는 검찰의 자료 무단폐기 의혹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민기 (choim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70905263585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