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물폭탄'에 잇단 산사태 사고…"대피는 높은 곳으로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주 또 한 차례 많은 비가 예보되면서 산사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얼마 전에도 경북 영주와 전북 정읍에서도 산사태 사고가 잇따랐는데요.<br /><br />지정된 취약 지역이 아니더라도 산사태는 전국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한채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집이 있던 자리를 뻘건 토사가 뒤덮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8월, 이틀간 3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졌던 강원도 횡성에서 산사태가 일어나 주택 한 채가 무너져 내렸습니다.<br /><br />뿌리째 뽑힌 나무가 아무렇게나 놓여져 있고, 골목길로 물줄기가 흘러내립니다.<br /><br />경기 광주에서도 산사태로 마을이 아수라장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작년 산사태 피해 건수는 1,278건으로 한 건당 피해 면적은 8년 평균보다 30%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국지성 집중호우가 빈번한 올해도 예외는 아닙니다.<br /><br />최근 경북 영주에서는 산사태로 14개월 아기가 숨졌고, 전북 정읍에서는 달리던 택시 위로 암석이 쏟아졌습니다.<br /><br />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전조 증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<br /><br />경사면에서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이 솟구치거나, 반대로 지하수나 샘물이 잘 나오던 곳에서 갑자기 물이 나오지 않을 때 산사태를 의심해봐야 합니다.<br /><br />산허리 일부에 금이 가거나 내려앉아 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바람이 불지 않는데도 나무가 흔들리고, 땅울림이 들릴 때는 이미 산사태가 시작됐을 수 있어 즉시 대피해야 합니다.<br /><br /> "긴급 대피할 때는 발생 방향과 수직 방향에서 가장 가까우면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것이 (안전합니다.)"<br /><br />올해부터 산림청은 산사태 예보 시간을 24시간 전에서 48시간 전으로 앞당기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온라인에서는 '산림청 산사태정보시스템'을 통해 예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채희입니다. (1ch@yna.co.kr)<br /><br />#산사태 #대피 #집중호우 #산림청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