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벌어진 새마을금고 사태의 배경으로 지목되는 부동산 PF 대출 부실 우려가 금융권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상대적으로 연체율이 낮은 시중은행들도 선제적으로 위험 관리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엄윤주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새마을금고 연체율이 급격히 오른 원인으로 무리한 부동산 PF 대출이 꼽힙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관련 업종에 대출을 많이 내줬다가 경기 하강과 금리 인상 등으로 돈을 제대로 받지 못하면서 부실이 더 악화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유혜미 /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과 교수(굿모닝 와이티엔 출연) : 새마을금고가 지금 금융 불안의 뇌관처럼…. 새마을금고는 연체율,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의 연체율이 굉장히 높아서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었는데요.] <br /> <br />이로 인해 부동산 PF 리스크가 또 한 번 부각 되면서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시중은행들도 긴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5대 시중은행의 6월 말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16조 4천억여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6% 넘게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2020년 말과 비교하면 무려 75% 급등한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연체율 역시 지난해 말 0%였던 게 올해 들어 소폭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 등으로 부실 우려가 커지자 연체 채권을 상각하는 등 관리에 나선 은행권에서 다시 연체가 발생한 겁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은행의 경우 그동안 선 순위거나 시공사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사업장을 위주로 보수적으로 운영해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도 최근 들어 시중은행을 중심으로는 부동산 PF 부실 우려를 선제적으로 대비하는 움직임이 분주합니다. <br /> <br />보유하고 있는 PF 사업장에 대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부실화될 가능성이 큰 자산을 미리 파악하겠다는 취지입니다. <br /> <br />[시중은행 관계자 : 우선 부동산 PF 부실 관리를 위해 취급 시점부터 사업성 검토를 강화하고 있으며, 부실사업장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또한, 위기를 가정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지속해서 실시하는 등 위기대응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새마을금고 발 위기로 되살아난 부동산 PF 불씨가 금융권 전체로 옮겨붙지 않기 위해 금융당국도 관련 추이를 면밀하게 지켜보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YTN 엄윤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 : 김희정 <br /> <br />그래픽 : 박유동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엄윤주 (eomyj101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715052324840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