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악 가뭄이 홍수로…일상 된 '극한 기후' 재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해 수도권 집중호우와 올해 충청권의 기록적 폭우처럼, 지금까지는 경험하지 못했던 날씨들이 이제는 일상이 되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앞으로 극단적인 기상현상들이 더 잦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김재훈 기상전문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쩍쩍 갈라지던 강이 이젠 가득 차다 못해 넘칠까 봐 걱정입니다.<br /><br />저수율이 10%로 곤두박질했던 광주 동복댐은 만수위까지 차올랐습니다.<br /><br />최악의 가뭄이 홍수로 바뀌는 데는 고작 석 달 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장마가 시작한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8일까지, 전국에 내린 평균 비의 양은 591mm.<br /><br />같은 기간으로는 관측 이래 가장 많은 장맛비입니다.<br /><br />충남 청양에는 665mm의 비가 내려 일주일 사이에 1년 강수량의 절반이 쏟아졌습니다.<br /><br />기록적 폭우는 정체한 장마전선이 원인이지만, 해마다 극단적으로 변해가는 강수 양상은 기후변화를 떼 놓고는 설명이 어렵습니다.<br /><br />극한 호우의 1차 기준이 되는 시간당 50mm의 강수 일수는 50년 새 75%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기후변화로 뜨거워진 공기가 더 많은 수증기를 품게 된 것입니다.<br /><br /> "대기 중에 수증기 양이 늘어나면서 비로 쏟아낼 수 있는 양도 증가할 뿐만 아니라, 산과 강 하나를 두고 강수량 편차가 극심해지고 있습니다"<br /><br />50년에 한 번, 100년 한 번 나타났던 극한 기상현상들이 어느덧 우리 일상에 자리 잡았습니다.<br /><br />"기온이 더 오르기 전에 빠르고 강력한 온실가스 감축 만이 우리가 그나마 알고 있는 기후의 환경으로 돌아올 수 있기 때문에 빠른 행동이 시급하다."<br /><br />많은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기후변화가 진행된다면, 극단적인 기상 현상들은 앞으로 더 잦아질 것이라고 경고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재훈입니다.<br /><br />(kimjh0@yna.co.kr)<br /><br />#극한호우 #기후변화 #기상이변 #온실가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