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화점보다 비싼 플랫폼 수수료…"결국 소비자 부담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온라인 쇼핑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면서 백화점 판매 수수료가 비싸다는 건 이제 옛말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온라인 플랫폼의 수수료가 백화점의 판매 수수료를 넘어 좀 과하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피해를 보는 건 결국 소비자들입니다.<br /><br />서형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유명 온라인 소품샵의 입점 제안 메일입니다.<br /><br />제품 판매와 브랜드 홍보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판매 수수료로 번 돈의 3분의 1이 넘는 35%를 부릅니다.<br /><br />유명 백화점 21%, 대형마트 19% 수준의 평균 판매 수수료와 비교해 훨씬 높은데, 카카오 선물하기나 무신사 같은 유명 온라인 판매 플랫폼 역시 품목에 따라서는 30% 내외의 수수료를 물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이런 비싼 수수료가 판매 가격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 "수수료가 30%다 보니까 실판매가에 반영되는 부분이 있죠. 플랫폼 정책에 맞춰서 할인 적용을 하는데 정가를 계속 올리고 계속 악순환이 되는 것 같아요."<br /><br />플랫폼 업체들은 선택의 문제라고 잘라 말합니다.<br /><br /> "입점하시는 거는 선택하는 거거든요. 자사몰로 트래픽을 끌기 위해서 마케팅 비용을 추가로 쓰느냐 아니면 수수료를 내고 그냥 플랫폼에 자산을 이용하느냐…"<br /><br />플랫폼이 이미 확보해 놓은 사용자들의 유입을 누리는 대가라는 거지만, 플랫폼 안에서도 입점 업체 간 경쟁은 치열한 게 현실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오프라인 매장과 달리 중개 역할만 하는 플랫폼의 수수료가 적정한지 짚어봐야 한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수수료가 어떤 부분에서 어떻게 발생하고 그게 왜 필요한지에 대한 부분들이 투명하게 공개된다면 입점 업체나 소비자나 이 비용에 있어서의 부분들을 좀 수긍할 수 있을 것…"<br /><br />또 계속해서 플랫폼 수수료가 기준 없이 높게 책정된다면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가 지게 될 거라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#무신사 #카카오선물하기 #판매수수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