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등학교 교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학교에는 폭우 속에서도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 당국은 학교 분향소 운영을 마무리하고, 본격적인 진상 규명에 착수합니다. <br /> <br />신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굵은 빗방울이 쏟아지는 휴일 오전. <br /> <br />조화는 고개를 떨구고 메모지의 메시지는 번졌지만, 추모 열기만큼은 식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자녀와 함께 찾은 학부모와 동료 교사들이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문선 / 강원도 원주 : 엄마랑 아빠 같은 선생님이 너무 힘든 일을 겪으셔서 일찍 돌아가시게 됐는데 선생님을 위로해드리고 싶어서 같이 왔으면 좋겠다고 얘기를 해서 오게 됐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, 선배 교사들은 지켜주지 못했다는 미안함에 눈물을 보이면서도, 강력한 재발 방지 대책을 한목소리로 주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 모 초등교사 / 경기도 용인 : 이제부터라도 교육이, 교권 실추가 어느 정도 정상화되고 교사의 인권도 정상화되고 현실적으로 선생님을 보호할 수 있는 정책 시스템이 좀 마련됐으면 하는….] <br /> <br />다만, 숨진 교사가 일했던 학교에서는 분향소가 정리됩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교육청은 방학 기간 방과후교실 등의 교육 활동을 제공하기 위해서라며, 강남서초교육지원청 분향소 운영 기간은 오는 28일까지로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교사의 사망을 둘러싼 진상 규명 작업도 본격적으로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는 오는 27일까지 학교를 찾아 교장과 교감, 동료 교원들을 면담하고 숨진 교사의 업무 현황과 학교교권보호위원회 개최 현황 등을 확인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, 다른 교사들이 겪은 '학부모 갑질' 등 피해 사례도 분석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인터넷 등에는 원격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자녀에게 '모닝콜'을 해달라고 했다가 거부당하자 민원을 제기하거나, 교사에게 직접 과일을 깎아 달라고 요구하고, 각종 폭언·폭행을 하는 등 교권 침해 사례 증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청주 초등교사 : 내가 더 이상 뭘 할 수 있는지도 모르겠고 뭐만 하면 법적으로 문제가 될 거 같고… 병원에 가서 약을 좀 먹어볼까, 아니면 교사 일을 진짜 이제 그만둘 때가 됐나….] <br /> <br />교사들의 누적된 분노가 한꺼번에 표출되는 가운데 당국이 교육 현장을 정상화할 방안 마련에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윤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: 최성훈 <br />그래픽: 박지원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윤정 (yjshin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72322070055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