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후 위기가 밥상 물가도 덮치면서 정부도 상추와 시금치, 닭고기 등 주요 품목 할인을 지원하며 농축산물 가격을 잡기 위해 나서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지난달 라면값 인하를 직접 압박하기도 했던 정부가 이번엔 우윳값에 눈길을 돌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불가피한 원윳값 인상으로 우유는 물론 우유를 사용하는 제품들까지 줄줄이 가격이 오를 우려가 제기되자 미리 경고장을 날린 건데, 우선 원윳값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원윳값은 한해 전에 상승한 생산비를 이듬해 반영하는 구조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지난해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상기후로 세계적으로 사룟값이 크게 상승하면서 낙농가의 원유 생산비가 1년 전보다 무려 13.7%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우유 소비가 줄어드는 시장 상황을 반영해 생산비 상승분의 60~90% 범위(69원~104원)에서만 가격 인상이 논의되고 있는데, <br /> <br />최소한으로만 잡아도 지금 1L에 996원인 원유 가격이 처음으로 천원을 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원유 가격이 1리터에 49원 올랐을 때 우유 가격이 10% 안팎으로 뛴 걸 고려하면, 지금 1리터에 2,900원 수준인 우유 소비자 가격이 3천 원을 웃돌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자 정부는 불가피한 상승분 이상의 인상을 해서는 안 된다며 우선 유통업계를 압박하고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과도한 유통 비용이 우유 가격을 끌어 올리고 있다며 불합리한 마진율을 지적한 겁니다. <br /> <br />또, 우윳값 상승은 자체로도 부담이지만 아이스크림과 빵 등 우유 가공식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'밀크플레이션' 우려가 있어서, <br /> <br />정부는 유통업계뿐 아니라 가공식품 업체들을 겨냥해 실제 우유 사용 비중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정황근 / 농림축산식품부 장관(지난 24일) : 빵하고 쿠키 이런 건 우유가 들어가는 게 1%에서 뭐 많아야 5%이기 때문에 사실은 가격이 영향이 거기까지 미칠 수는 없는 거고요. 그다음에 낙농가들한테도 저희가 적정 가격 인상을 하도록 이렇게 촉구를 하고 있고 유업체에도 우리가 좀 고통을 서로 나누자 이렇게 강력하게 요청을 하고 있어요.] <br /> <br />우유 말고도 하반기 물가 상승 요소가 수두룩해 정부는 원윳값 상승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건데요, <br /> <br />이번 달 초 서울우유와 남양유업 등 10여 곳에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농가와 유가공업체로 구성된 낙농진흥회에서 원윳값 인상 폭을 결정하기 위해 막바지 협상이 진행 중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72616561221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