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H가 발주한 아파트 가운데 철근이 누락된 아파트 15곳이 공개되면서 주민들의 불안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가운에 '무량판' 구조에 대한 불안감이 더 확산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무량판 공법을 포함해 아파트 바닥 구조를 한 번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아파트는 보통 기둥 없이 벽이 천장을 받치는 벽식 구조와 보와 기둥이 천장을 받치는 기둥식 구조, 그리고 보 없이 바닥과 기둥만 있는 무량판 구조 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철근 누락으로 '순살 오명'을 쓴 무량판 구조, 대들보가 없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인데요. <br /> <br />보가 없으니 공사 시간이 단축되고, 비용도 훨씬 절감됩니다. 게다가 높은 층고가 가능하고, 전기나 배관 등의 시공도 용이한데요. <br /> <br />소음이 벽으로 전달되는 벽식 구조보다 층간 소음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이점들 때문에 애초 백화점 등 고층 빌딩에 주로 사용했던 무량판 공법을, 최근에는 아파트에 적용하는 추세가 이어지면서, LH도 2017년부터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적용해 왔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보 없이 기둥만으로 하중을 견뎌야 하는 만큼 '뼈대' 역할을 하는 보강 철근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. <br /> <br />지난 4월 인천 검단에서 발생한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도 이 보강 철근이 부족해 벌어진 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20~30년 전 아파트보다 철근 사용량이 절반으로 줄었다는 건설 현장 노동자 증언이 있을 정도인데요. <br /> <br />그러니까 결론적으로 말하면 무량판의 구조적 문제라기보다 '있어야 할 철근이 빠진 무량판'이 붕괴 사고의 원인이라는 것이죠. <br /> <br />다만 철근 누락이 설계 미흡인지 시공의 문제인지, 그걸 막기 위한 2중, 3중 안전 장치들이 작동했는지가 관건이라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[홍성용 건축사 (YTN뉴스라이브, 오늘) : 그래서 해외 같은 경우는 이 감리가 준공무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. 그래서 강력한 공사 중지나 지적을 하면 공사가 중단돼요. 그런데 우리 같은 경우는 민간의 영역으로 이걸 보고 있기 때문에 공사 중단을 하거나 지시를 했을 때 멈추게 되거나 비용이 상승하게 되면 이게 심지어는 발주자인 건축주도 감리자한테 요구를 합니다. 왜 이렇게 까다롭게 하느냐. 그래서 손해배상까지 청구할 수도 있고요.] <br /> <br />객관적인 감리자의 역할을 위해 공무원에 준하는 역할을 부여받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건데, 이번에 발표된 아파트 단지들도 설계, 시공, 감리사가 전부 제각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80116063549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