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주식시장을 보면 배터리 관련주에 관심이 뜨겁습니다. <br /> <br />차세대 미래 먹거리로 꼽히는 이차전지에 우리 기업은 물론 중국 업체까지 국내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지만, 대외적인 변수에 경쟁력 확보까지 숙제가 만만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양일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"대한민국의 이차전지 초강대국 실현은 새만금에서부터. <br /> <br />다 함께 외쳐주십시오. 하나, 둘, 셋" <br /> <br />LS그룹이 새만금에 이차전지 제조시설을 짓기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투자 규모만 무려 1조 8,400억 원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해외 의존도가 높은 이차전지 소재를 국산화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만들겠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새 미래 먹거리 산업을 위한 투자에 휴가 중인 대통령도 참석해 관심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 : 이차전지는 반도체와 함께 우리나라 전략 자산의 핵심입니다. 그리고 전 세계 기술패권 경쟁의 중심에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차전지 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, 중국 배터리 소재 회사들도 앞다퉈 한국에 손을 내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기업 거린메이는 SK온, 에코프로 등과 함께 1조 1,200억 원을 투자해 공장을 짓기로 했고, <br /> <br />중국의 화유코발트는 LG화학과 손잡고 1조 2,000억 원을 들여 공장을 건설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배터리 관련 기업들의 한국행은 사실상 중국을 겨냥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에 대응하기 위한 우회로 확보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중국 의존도가 높은 우리 이차전지 업계도 기술을 배울 수 있어 윈-윈으로 꼽히지만, 미국 정부 정책이 어떻게 바뀔지가 변수입니다. <br /> <br />[박철완 / 서정대 스마트자동차과 교수 : 미국의 정책 변화가 갑자기 일어났을 때 위기 요인은 있는데, 지금은 사실 그걸 대비하기엔 벅찬 상황이잖아요, 우리나라가.] <br /> <br />이와 함께, 이차전지 시장의 성장세와 반대로 우리 대표 기업들의 점유율이 조금씩 떨어지고 있어 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단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양일혁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양일혁 (hyu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806064925651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