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미일 안보 밀착…위협 공동대응, 동맹은 선긋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3국은 포괄적인 안보 협력체로 거듭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별도의 문서로 3국 간 협의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고, 그 범위도 인도태평양 지역으로 확대했는데요.<br /><br />다만 '동맹'으로 발전할 가능성에는 선을 긋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지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미일 정상회의의 결과물로 도출된 3개 문건 중 가장 마지막에 채택된 건 '3자 협의 공약'.<br /><br />정치적 공약을 담은 별도 문서로 3국 공동의 위협에 대한 공조 방안을 명시했습니다.<br /><br /> "역내 외 공동 위협과 도전에 대해서 각국이 긴밀히 소통하면서 적시에 효과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게 해줄 것입니다."<br /><br />협력 대상은 북한의 핵·미사일 위협뿐 아니라 경제안보, 사이버 등으로 확대됐고, 그 지역도 동북아를 넘어 인도·태평양까지 포괄하며 '글로벌 안보 협력체'로 외연을 넓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협의에 대한 '의무'는 담기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3자 협의 공약에는 한미 상호방위조약을 비롯한 기존 공약을 침해하지 않으며, 권리나 의무 창설을 의도하지 않는다는 내용이 명시됐습니다.<br /><br />자국의 이익에 따른 각국의 자율적 판단에 맡긴다는 겁니다.<br /><br />같은 맥락에서, 대통령실과 백악관 모두 군사적 위협이 발생할 경우 자동 개입하는 '군사 동맹'으로 나아갈 가능성에는 일단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한 대북 공조는 더 공고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 "북한 미사일 경보정보의 실시간 공유가 올해 안에 본격 가동될 것이며, 이는 3국의 북한 미사일 탐지와 추적 역량을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이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3국은 다년간의 3자 훈련계획 수립에 합의하고, 북한의 사이버 활동에 대응하기 위한 실무 그룹도 신설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'자유롭고 평화로운 통일 한반도에 대한 지지'가 한미일 정상 차원에서 처음 언급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밖에도 3국은 북한 인권 개선과 납북자, 국군 포로 문제 해결에도 뜻을 같이해 자유와 인권을 향한 보편적 가치에 보폭을 맞췄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 (js173@yna.co.kr)<br /><br />#한미일정상회의 #윤석열대통령 #안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