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토종 '생성형 AI' 봇물 이루는데…개발사는 수익부터?

2023-08-20 1 Dailymotion

토종 '생성형 AI' 봇물 이루는데…개발사는 수익부터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를 강타했던 생성형 인공지능 '챗GPT' 인기가 예전같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경쟁 모델 등장 탓도 있지만, 문제는 수익모델이 없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이 때문에 파산 가능성까지 나오자 출시를 앞둔 토종 '생성형 인공지능' 모델들은 수익부터 고민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 게임사 최초로 초거대 인공지능 AI 언어모델을 공개한 엔씨소프트.<br /><br />AI 성능의 척도가 되는 투입 가능한 데이터량, 즉 매개변수를 130억 개로 대폭 낮췄고, 슈퍼 컴퓨팅이 없이도 작동됩니다.<br /><br />초기 사용자를 늘리기 위한 건데, 내년 3월에는 매개변수를 1,000억 개까지 늘려 다른 게임사들의 게임 개발과 캐릭터 제작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수익을 염두에 둔 조치입니다.<br /><br /> "생성형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게임 개발의 다양한 단계에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구들을 개발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네이버도 오는 24일 초거대 'AI 하이퍼클로바X'를 내놓습니다.<br /><br />매개변수는 2,040억개로, 한국어 학습량만 보면 챗GPT-3의 6,500배가 넘습니다.<br /><br />구글의 바드나 챗-GPT보다 한국어에 특화돼 있는 건데, 기업용 생성형 AI 개발에도 팔을 걷어부쳤습니다.<br /><br /> "뉴로 클라우드나 이런 기술을 활용해서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한 수익적인 결과가 좀더 빨리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"<br /><br />카카오가 내놓을 초거대 AI '코-GPT 2.0'은 매개변수를 130억 개와 250억 개, 650억 개 등으로 다양화한 모델입니다.<br /><br />역시 카카오톡 비즈니스 서비스인 주문과 예약, 상담, 결제 등과 접목해 수익구조를 고민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업들이 이렇게 수익을 고려하는 건 최근 인기가 시들해지며 어려움을 겪는 '챗-GPT' 영항이 큽니다.<br /><br />반면, 수익만 염두해 둔 개발은 결국 국내용으로 특화될 가능성이 커 해외 시장 진출에 발목이 잡힐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생성형AI #챗GPT #토종AI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