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, 24~31일 정찰위성 재발사 예고…한미연합연습 겨냥 관측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은 오는 24일부터 31일 사이에 정찰위성을 재발사할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국제해사기구 지역별 항행구역 조정국인 일본에 이같이 통보한 건데요.<br /><br />북한이 정찰위성 발사 시기를 한미연합연습 기간에 맞춘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 당국은 일본 해상보안청에 "24일 0시부터 31일 0시 사이에 인공위성을 발사할 것"이라고 통보했다고 일본 정부가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일본 측에 인공위성 발사에 따른 해상 위험구역 3곳도 알렸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설정한 위험구역은 북한 남서쪽 황해 해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해상 1곳으로, 모두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(EEZ) 밖입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일본에 알린 것은 항행구역 조정국에 통보하도록 규정한 국제해사기구(IMO) 총회 결의에 따른 것으로, 국제 규범을 지키는 모양새를 연출한 겁니다.<br /><br />북한이 발사를 예고한 것은 군사정찰위성으로, 북한은 지난 5월 29일에도 일본에 인공위성 발사 시기를 통보하고 이틀 뒤 정찰위성을 쏘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당시 발사는 운반로켓 추진체 엔진 고장으로 실패했고, 체면을 구긴 김정은 정권은 정찰위성 재발사를 공언했습니다.<br /><br /> "이번 발사 실패의 원인과 교훈을 철저히 분석하고 빠른 시일 안에 군사정찰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함으로써 인민군대의 정찰·정보 능력을 제고하고…"<br /><br />북한의 정찰위성 재발사 시기는 한미 '을지 자유의 방패'(UFS) 연합연습 기간과 일치합니다.<br /><br />이는 정찰위성이 한미동맹을 겨냥한 것임을 분명히 하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또한 정찰위성 재발사 성공으로 다음 달 9일 정권 수립 75주년을 앞두고 축제 분위기를 띄우려는 목적도 큰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정확한 발사 날짜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결심에 따라 정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3개월 전처럼 예고 기간의 첫날일 수도 있고, 김정일 시대의 선군정치를 기념하는 '선군절'인 25일에 맞출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평안북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일대의 날씨도 정찰위성 재발사 날짜 선정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