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20억 원대 전세보증금 가로챈 일당 덜미…피해자는 절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00억원이 넘는 전세보증금을 가로챈 조직들 경찰에 덜미를 잡혔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피해자는 구제받을 길이 막막해 보증금을 날려야 할 처지가 됐습니다.<br /><br />고휘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30대 총책 A씨 등 8명은 지난 2021년 이곳에 부동산컨설팅 업체를 차려놓고 매물로 나온 수도권 지역 빌라와 오피스텔을 살폈습니다.<br /><br />집주인을 찾아가 매매를 성사시켜 주겠다며 시세보다 더 높게 전세 계약을 체결할 것을 조건으로 달았습니다.<br /><br />일명 '동시 진행' 깡통전세로, 시세가 2억 원인 집을 2억2천5백만 원에 전세로 계약을 진행한 뒤 2억원은 집주인에게 돌려주고 남은 2천500만 원을 챙기는 수법입니다.<br /><br />최대 1억원 상당의 리베이트를 챙기기도 했는데, 대부분 매매는 신용불량자로 구성된 속칭 '바지 명의자'를 내세워 계약했습니다.<br /><br />전세 계약 종료 시기가 도래했지만, 피해자들은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피해자만 53명, 피해 금액은 57억 원에 이릅니다.<br /><br />전세보증보험에 가입한 피해자는 구제받을 수 있었지만 그렇지 못한 이들은 살길이 막막합니다.<br /><br /> "막막해요. 솔직히. 부모님도 모르시는데 얘기해봤자 병 나실 것 같아서 말씀도 못 드리고. 사기당했다고 그러면 주변에서 '잘 알아보지' 하는데, 안 알아보고 집 들어가는 사람이 어디 있겠어요. 한두푼도 아니고…"<br /><br />부산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는 또 이와 별개로 금융기관에 가짜 서류를 제출하고 허위로 전세 대출금 57억 원을 받아 챙긴 조직원 19명 등 65명도 검거했습니다.<br /><br /> "앞으로 이런 범죄가 계속 터지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습니다. 하루빨리 다른 이유로 터지기 전에 우리가 먼저 확인해서 조금이라도 빨리 나쁜 사람들 처벌받게 하고…"<br /><br />따라서 전세나 임대차 계약을 하기 전 주변 시세를 꼼꼼히 확인해야 하며, 금융기관은 대출서류만 확인할 것이 아니라 현장 실사도 반드시 해야 한다고 경찰은 조언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. (take5@yna.co.kr)<br /><br />#전세사기 #깡통전세 #전세보증보험 #바지명의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